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GX 실현을 위해 학계에 필요한 연구개발의 방향성(중간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0-25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문부과학성 혁신적 GX 기술개발 소위원회는 GX 실현을 위해 학계에 필요한 연구개발의 방향성 등에 대해 검토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중간보고서를 발표
○ 사회과제로부터 백캐스트(목표역산)방식으로 검토
- GX의 실현은 사회·경제시스템의 변혁을 수반하므로 다양한 기술 및 선택지를 조합하고, 규제 및 국제표준화 등을 고려하여 사회과제로부터 백캐스트(목표역산방식)방식으로 검토 필요
- 경제·사회·환경의 최적화 및 사회과학·인문학·지정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한 주제 논의가 필요하며, 이때 학계 및 기업의 신진연구자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
- 외부 환경 변화도 반영하여 기술의 사회적 가치평가 및 시나리오 작성, 행동 변용 및 사회 변혁의 촉진과 같은 탄력적 연구개발 및 시나리오 분석, 기술경제분석이 가능한 인재, 종합적 신규 기술의 응용 방안을 생각해낼 수 있는 인재 육성이 중요
○ 혁신기술창출
- 사회과제해결을 위해서는 수요측(산업계)와 공급측(학계)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및 협력을 통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고려한 연구 추진 필요
- 「첨단 바이오×AI」 등 의외의 조합을 통한 혁신 창출도 중요
○ 출구를 고려한 전략적 매니지먼트
- 상용화를 시야에 두고 대체 기술 및 경합 기술등 동향을 항상 주시하면서 연구개발 시작 후 속도감을 갖고 쉐도를 수정하면서 추진하는 것이 중요
- 사회적 수요에 입각한 연구요소분석 및 유망한 주제의 연구개발을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인지 등 연구개발관리 자체에 대한 연구도 중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