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의약품 정책을 알리기 위한 근거 : 약품개발 투자에 대한 공공정책의 영향에 대한 연구 요청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0-28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바이오제약 산업에서 예상되는 수익성과 연구개발(R&D) 투자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정책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 요청을 발표
- 미국 정부의 약가 정책이 바이오제약 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며, 증거 기반의 정책 결정을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
○ 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바이오의약품 정책을 알리기 위해서는 업데이트되고 강력한 근거에 대한 필요성이 높음
- 이러한 필요성은 R&D 투자 감소와 신약 개발을 크게 감소시키는 가격설정조항(instituted price-setting provisions)을 담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과 같은 최근의 이니셔티브에 비추어 볼 때 특히 시급함
- 다수의 연구에서 높은 재정적 수익이 제약업계의 신약 개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밝혔으나, 약가 인하 정책은 장기적으로 혁신을 저해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보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의회예산국(CBO)은 기존 데이터로 약가 규제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지만, 최신 생태계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CBO의 예측 모델이 최근 제약 산업의 동향을 반영하도록 개선이 필요
- ITIF는 가격 정책이 치료 혁신 및 헬스케어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더 포괄적이고 정확한 연구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 ITIF는 연구 보조금을 제공해 바이오제약 R&D 투자와 정책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새로운 연구를 장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구자들이 바이오제약 개발 비용, 투자, 성과 관련 데이터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