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매스 활용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농림수산성(MAF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0-28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농림수산성은 관계 부처(내각부, 총무성, 문부과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환경성)와 협력하여 바이오매스 산업 도시의 선정·지원 등 정책을 통해 바이오매스의 활용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번 추진 관련 현황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바이오매스란 생물자원(bio)의 양(mass)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동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인 자원(화석자원 제외)으로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키지 않아 지구온난화 방지, 순환형사회 구축에 기여하므로 활용의 가속화가 필수불가결
○ 바이오매스 추진체계
- 바이오매스활용추진기본법('09.6.12 법률 제52호)에 따라 관련 7개 부처(내각부, 총무성, 문부과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가교통성, 환경성)로 구성된 '바이오매스활용 추진회의'가 설치되어 바이오매스 활용에 기여하는 정책을 추진 중
○ 바이오매스 산업도시 선정(103곳)
- 경제성이 확보된 일관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의 특색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산업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재해에 강한 지역 건설을 목표로 하는 도시를 바이오매스 산업도시로 선정
○ 바이오매스이용기술현황 및 로드맵
- '12.9 '바이오매스 사업화전략'과 함께 결정된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의 현황 및 로드맵'(이하 '기술로드맵')을 관계 부처 및 국립연구개발법인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개정하여 '22.9 발표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기술의 도달 수준을 정리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한 기술로드맵을 참고하여 기술개발 추진현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연구, 실증을 추진하고, 실용화 단계에 있는 기술은 사업화에 활용
○ 부처별 바이오매스 관련 정책
- (농림수산성) 지역순환형에너지시스템 구축, 지역자원활용전개지원사업, 목질바이오매스 이용촉진시설 정비 등
- (경제산업성) 탄소재활용 실현을 가속화하는 바이오 유래제품 생산기술 개발사업, 목질 바이오매스 연료 등의 안정적, 효율적 공급, 이용시스템 구축 지원사업 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