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 관련 발명의 출원현황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특허청(JPO)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24-10-31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특허청은 '19년 7월 발표한 국내외 AI 출원현황에 관한 조사보고서에 대한 개정판을 발표('21년까지 출원 데이터 반영)
- AI 핵심 발명(FI로서 G06N이 부여된 것)과 함께 AI를 각 기술 분야에 적용한 발명을 'AI 관련 발명'으로 정의
- '23.1월에 새로운 FI 부여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22년까지 공표된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14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22년 출원 건수는 약 1,300건
- AI 관련 발명 중 FI로서 G06N(AI 핵심 기술)이 부여되고 있는 특허의 '22년 출원 건수는 약 3,000건으로 증가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증가 추세
- 최근에는 심층 학습 중에서도 특히 ChatGPT 등의 「생성형 AI」가 학술계의 다양한 업무에서 평가 대상이 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어 향후 AI 관련 발명에 대한 영향도 예상
- AI 관련 발명의 주요 분류로서 G06N(AI 핵심 기술) 외에 G06T, G06V(화상처리·인식)이 가장 많으며 「기타」로 정리되는 주요 분류 수도 증가하고 있어 AI기술이 적용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
- 개별 심층학습 기술을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 출원 건수는 2014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한편 심층강화학습에 대해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최근 변동이 없음
- 트랜스포머를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20년에 심층강화학습의 특허 출원을 추월하여 증가 경향을 보임.
- 일본, 유럽, 중국, 한국에서 G06N이 부여된 출원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출원 건수는 중국이 압도적
- AI 핵심 발명(FI로서 G06N이 부여된 것)과 함께 AI를 각 기술 분야에 적용한 발명을 'AI 관련 발명'으로 정의
- '23.1월에 새로운 FI 부여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22년까지 공표된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14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22년 출원 건수는 약 1,300건
- AI 관련 발명 중 FI로서 G06N(AI 핵심 기술)이 부여되고 있는 특허의 '22년 출원 건수는 약 3,000건으로 증가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증가 추세
- 최근에는 심층 학습 중에서도 특히 ChatGPT 등의 「생성형 AI」가 학술계의 다양한 업무에서 평가 대상이 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어 향후 AI 관련 발명에 대한 영향도 예상
- AI 관련 발명의 주요 분류로서 G06N(AI 핵심 기술) 외에 G06T, G06V(화상처리·인식)이 가장 많으며 「기타」로 정리되는 주요 분류 수도 증가하고 있어 AI기술이 적용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
- 개별 심층학습 기술을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 출원 건수는 2014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한편 심층강화학습에 대해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최근 변동이 없음
- 트랜스포머를 언급하는 AI 관련 발명의 출원 건수는 '20년에 심층강화학습의 특허 출원을 추월하여 증가 경향을 보임.
- 일본, 유럽, 중국, 한국에서 G06N이 부여된 출원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출원 건수는 중국이 압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