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열발전 -이점 및 도입을 위한 과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참의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01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참의원 상임위원회 조사실·특별조사실은 지열발전의 이점 및 도입을 위한 과제에 대해 기술한 보고서를 발표
- 일본의 경우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평지 면적이 부족하여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 등의 적지를 확보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음
- 일본에는 풍부한 지열자원이 있으며, 재생에너지라는 점에서 에너지 자급률의 향상에 기여하고, CO2를 거의 배출하지 않아 탄소중립에도 기여
- 그러나, 지열발전의 도입과 관련해서는 정확한 자원량 등의 예측이 어렵고, 지역과의 공생 등 과제가 있음
○ 지열발전 도입을 위한 정부 등의 대응
- (개발 리드 타임에 대한 대응 - 지열개발가속화플랜) 지열발전은 일반적으로 개발 리드타임이 10년 이상이므로, 환경성은 '21년 4월 '지열개발 가속화플랜'을 발표하고, 개발 리드타임을 2년 단축하여 최단 8년으로 할 것, '30년까지 전국의 지열발전 시설수를 현재의 60개에서 배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시
- (개발 리스크에 대한 대응 - 자원량 조사) 지열발전은 실제로 굴착 등을 하지 않으면 정확한 자원량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개발 리스크가 높으므로,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는 '20년 이후 탐사·굴착을 실시하고, 조사를 완료하는 대로 조사 결과를 사업자 등에게 제공하는 '선도적 자원량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의 조사 건수는 전국 총 82건
- (지역과 공생하는 지열개발 촉진을 위한 대응) 지열발전 사업자, 온천 사업자 등과의 상호 이해 및 신뢰 구축을 추진하기 위해 정부는 지열발전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공유 및 지열자원의 활용을 통한 이익 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스터디그룹 및 실증적 지열활용사업의 실시에 대한 보조를 실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