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석탄의 주요 용도별 탈탄소 기술 소개 -지속가능한 사회와의 조화를 목표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참의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01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참의원 상임위원회 조사실·특별조사실은 석탄의 주요 용도별 탈탄소 기술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22년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1억 3,500만 톤(CO₂ 환산)으로 그 중 CO₂가 10억 3,700만 톤(91.3%)이고, CO₂ 배출량 중 에너지로 인한 것은 9억 6,400만 톤
- 연료 종류별로 보면 석탄 2억 9,400만 톤(30.5%), 석탄제품 1억 1,000만 톤(11.4%)으로 41.9%
- 석탄 화력발전의 CO₂ 배출량은 2억 5,900만 톤으로 발전에 따른 CO₂ 배출량의 60.9%를 차지, 철강업의 CO₂ 배출량은 1억 3,400만 톤으로, 산업부문에서 가장 높은 38% 차지
○ 석탄화력발전의 주요 탈탄소 기술
- 향후 석탄화력발전의 탈탄소를 좌우하는 주요 기술로는 '석탄의 가스화'와 '암모니아 혼소·전소'가 있음.
- (석탄가스화에 의한 복합발전-IGCC, IGFC) 석탄화력발전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CO₂는 배출되므로, 탈탄소를 위해서는 CCS 등과 조합할 필요가 있음
- (암모니아 혼소・전소) 후자는 연료인 석탄을 탈탄소 연료로 대체하는 것으로, 100% 암모니아 전소가 실현될 경우 석탄을 완전히 대체 가능
○ 철강업의 주요 탈탄소 기술
- (용광로에서의 탈탄소 기술) 수소환원기술, 탄소재활용, 페로코크스, 직접수소환원제철, 전기용광로에서의 탈탄소에 기여하는 기술(대형 전기 용광로에서의 고급강 제조)
- 일본이 세계 최초로 고성능 그린스틸(친환경 철강)을 적절한 비용으로 상용화할 경우 탈탄소 뿐 아니라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22년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1억 3,500만 톤(CO₂ 환산)으로 그 중 CO₂가 10억 3,700만 톤(91.3%)이고, CO₂ 배출량 중 에너지로 인한 것은 9억 6,400만 톤
- 연료 종류별로 보면 석탄 2억 9,400만 톤(30.5%), 석탄제품 1억 1,000만 톤(11.4%)으로 41.9%
- 석탄 화력발전의 CO₂ 배출량은 2억 5,900만 톤으로 발전에 따른 CO₂ 배출량의 60.9%를 차지, 철강업의 CO₂ 배출량은 1억 3,400만 톤으로, 산업부문에서 가장 높은 38% 차지
○ 석탄화력발전의 주요 탈탄소 기술
- 향후 석탄화력발전의 탈탄소를 좌우하는 주요 기술로는 '석탄의 가스화'와 '암모니아 혼소·전소'가 있음.
- (석탄가스화에 의한 복합발전-IGCC, IGFC) 석탄화력발전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CO₂는 배출되므로, 탈탄소를 위해서는 CCS 등과 조합할 필요가 있음
- (암모니아 혼소・전소) 후자는 연료인 석탄을 탈탄소 연료로 대체하는 것으로, 100% 암모니아 전소가 실현될 경우 석탄을 완전히 대체 가능
○ 철강업의 주요 탈탄소 기술
- (용광로에서의 탈탄소 기술) 수소환원기술, 탄소재활용, 페로코크스, 직접수소환원제철, 전기용광로에서의 탈탄소에 기여하는 기술(대형 전기 용광로에서의 고급강 제조)
- 일본이 세계 최초로 고성능 그린스틸(친환경 철강)을 적절한 비용으로 상용화할 경우 탈탄소 뿐 아니라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