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국립대학법인 등의 기능 강화를 위한 현황 논의자료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4-11-01
- 등록일 2024-11-08
- 권호 275
○ 국립대학법인 등의 기능 강화를 위한 검토회는 11월 1일 개최된 4회 회의에서 국립대학법인 등 현황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40년 이후에 필요한 인재상
- '23년 6월 각료회의에서 채택된 「4차 교육진흥기본계획」에서는 '40년 이후의 사회를 고려한 교육정책에서의 총괄적 기본방침으로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창출하는 인재육성」 「일본 사회에 뿌리를 둔 웰빙 향상」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일본이 지향해야 할 사회 및 개인의 방향성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이들의 상호순환적 실현을 위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정책 추진 필요
○ 대학의 국제화
- 일본의 대학 등(대학, 대학원, 전문대, 고등전문학교)에 재학중인 일본인 학생수에 대해 단년도에 고등교육기관에 유학하는 일본인의 수는 3.1%이며,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은 5.5%
- 일본인 유학생이 해외 유학을 통해서 획득한 것, 채용 담당자가 유학을 통해 획득하기를 희망하는 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도전정신이 80% 이상
○ 박사인재의 육성 및 지원현황
- 박사과정 입학생 중 직장인 외 입학생 수는 '03년의 약 1.4만 명을 정점으로 대폭 감소하여 '23년에는 가장 많았던 시기에 비해 약 40% 감소
- 석사 재학생의 경우 '공학' 분야, 박사 재학생의 경우 '보건' 분야가 전체의 약 40%, 전문직 대학원 재학생의 경우 '사회과학' 분야가 전체의 60% 이상 차지
○ 국립대학의 기능 강화를 위한 논점
- 국립대학의 법인화 이후 학부·학과의 재검토 및 교육 매니지먼트 체제 정비 등이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최근의 대학 및 학생의 성장을 사회에 홍보 필요(홍보에 어떠한 정보 및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논의 필요)
- 혁신을 창출하는 박사인재의 활약을 위해 국가 및 국립대, 산업계 및 지자체가 실시해야 하는 대응
○ '40년 이후에 필요한 인재상
- '23년 6월 각료회의에서 채택된 「4차 교육진흥기본계획」에서는 '40년 이후의 사회를 고려한 교육정책에서의 총괄적 기본방침으로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창출하는 인재육성」 「일본 사회에 뿌리를 둔 웰빙 향상」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일본이 지향해야 할 사회 및 개인의 방향성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이들의 상호순환적 실현을 위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정책 추진 필요
○ 대학의 국제화
- 일본의 대학 등(대학, 대학원, 전문대, 고등전문학교)에 재학중인 일본인 학생수에 대해 단년도에 고등교육기관에 유학하는 일본인의 수는 3.1%이며,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은 5.5%
- 일본인 유학생이 해외 유학을 통해서 획득한 것, 채용 담당자가 유학을 통해 획득하기를 희망하는 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도전정신이 80% 이상
○ 박사인재의 육성 및 지원현황
- 박사과정 입학생 중 직장인 외 입학생 수는 '03년의 약 1.4만 명을 정점으로 대폭 감소하여 '23년에는 가장 많았던 시기에 비해 약 40% 감소
- 석사 재학생의 경우 '공학' 분야, 박사 재학생의 경우 '보건' 분야가 전체의 약 40%, 전문직 대학원 재학생의 경우 '사회과학' 분야가 전체의 60% 이상 차지
○ 국립대학의 기능 강화를 위한 논점
- 국립대학의 법인화 이후 학부·학과의 재검토 및 교육 매니지먼트 체제 정비 등이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최근의 대학 및 학생의 성장을 사회에 홍보 필요(홍보에 어떠한 정보 및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논의 필요)
- 혁신을 창출하는 박사인재의 활약을 위해 국가 및 국립대, 산업계 및 지자체가 실시해야 하는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