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태양광발전분야의 기술전략수립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속가능한 태양광 발전의 도입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혁신전략센터(TS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05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혁신전략센터는 지속가능한 태양광 발전(PV)의 대량 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 및 해결을 위한 수단, 기술개발의 방향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동 보고서에서는「PV의 대량 도입을 바탕으로 한 '50년 탄소중립 실현」과 같은 미래상을 설정하고 각국·지역의 정책, 시장, 기술의 관점에서 PV를 둘러싼 상황을 분석한 후, 지속가능한 PV의 도입 확대를 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제를 파악
-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자원 제약, 공급망, 적합지 제약, 계통 제약, 사회수용성이 있으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PV 분야의 자원절약 및 자원순환, 공급망 다양화 및 국내 생산체제 구축, PV의 다용도화, 2차전지 및 수소 제조 등과의 조합을 통한 탄력성 확보,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대응 추진 등을 들 수 있음
- 페로브스카이트 PV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장기신뢰성」과 「고효율」을 동시에 충족하는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PV 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며, 이 때 소재업체, 장치업체와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제조기술 등 개발 추진 필요
- 텐덤형 PV의 경우 서로 다른 성질의 셀이 겹쳐 제작되기 때문에 두 셀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기술개발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PV 도입 확대를 위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술개발은 물론 정책·제도 등을 포함한 대응과 함께 연구개발, 생산, 사업개발, 시스템개발, O&M, 재활용 등 폭넓은 분야의 인재육성이 필요
- 지속가능한 PV 도입 확대를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업자, 대학, 연구기관, 관계부처, NEDO 등 관계자의 협력이 필수불가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