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산업의 진흥에 관한 동향조사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05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경제산업성은 '23년 상거래 서비스 환경의 적정화에 관한 사업의 일환으로 바이오산업 진흥 동향에 관한 조사보고서를 발표(Arthur D. Little 작성)
○ 바이오제조 관련 동향 조사
- 전 세계 바이오 제조 시장규모는 '30~'40년 연평균성장율(CAGR)+9.5%로 약 46.2조 엔에서 114.8조 엔으로 성장 전망
- '30년 민관투자액은 일본에 비해 유럽(EU)이 1.8배, 미국이 3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
- 바이오벤처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액 추이는 투자가 활발했던 '21년 Spiber의 435억 엔이 최대
○ 일본의 정책 방향성(과제 및 필요한 정책)
- (화학공업) △바이오플라스틱의 경우 환경부하가 크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강도가 불충분 △먹을 수 없는 바이오매스는 비용이 높고 CO₂ 이용의 경우 아직 기술개발초기 단계(기술개발 및 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에너지) △목질바이오매스의 경우 제조공정 비용이 높고 미세조류 배양의 경우 배양분리기술이 미성숙 △국내 SFA 전환 목표의 세계적 수준과의 괴리, 국산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인정 취득협상 지연 등(기술개발・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식품) 배양육 제조 비용이 높으며, 배양육 관련 안전성 기준이 불명확, 배양육에 대한 국민의 수용성이 낮고, 세포배양에 필요한 주변 기기 및 부자재의 공급자가 불충분(기술개발 및 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검토가 필요한 정책의 종류
- (기술개발・기술정책) △바이오제조기술, 소재, 제품 개발△바이오 파운드리 및 플랫폼 육성
- (시장환경정비) 규제 정비 및 표준화전략, 제품 홍보 전략, 개별제품 항목의 국민 수용성 향상을 위한 대응, 바이오 제조 제품의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시스템 정비 등
- (사업환경정비) 개발 대상이 되는 소재 개척, 사업 매칭, 설비투자지원, 원료조달공급망 정비, 바이오제조 관련 인재 육성 등
○ 바이오제조 관련 동향 조사
- 전 세계 바이오 제조 시장규모는 '30~'40년 연평균성장율(CAGR)+9.5%로 약 46.2조 엔에서 114.8조 엔으로 성장 전망
- '30년 민관투자액은 일본에 비해 유럽(EU)이 1.8배, 미국이 3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
- 바이오벤처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액 추이는 투자가 활발했던 '21년 Spiber의 435억 엔이 최대
○ 일본의 정책 방향성(과제 및 필요한 정책)
- (화학공업) △바이오플라스틱의 경우 환경부하가 크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강도가 불충분 △먹을 수 없는 바이오매스는 비용이 높고 CO₂ 이용의 경우 아직 기술개발초기 단계(기술개발 및 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에너지) △목질바이오매스의 경우 제조공정 비용이 높고 미세조류 배양의 경우 배양분리기술이 미성숙 △국내 SFA 전환 목표의 세계적 수준과의 괴리, 국산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인정 취득협상 지연 등(기술개발・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식품) 배양육 제조 비용이 높으며, 배양육 관련 안전성 기준이 불명확, 배양육에 대한 국민의 수용성이 낮고, 세포배양에 필요한 주변 기기 및 부자재의 공급자가 불충분(기술개발 및 기술정책, 시장환경 정비, 사업환경 정비 필요)
○ 검토가 필요한 정책의 종류
- (기술개발・기술정책) △바이오제조기술, 소재, 제품 개발△바이오 파운드리 및 플랫폼 육성
- (시장환경정비) 규제 정비 및 표준화전략, 제품 홍보 전략, 개별제품 항목의 국민 수용성 향상을 위한 대응, 바이오 제조 제품의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시스템 정비 등
- (사업환경정비) 개발 대상이 되는 소재 개척, 사업 매칭, 설비투자지원, 원료조달공급망 정비, 바이오제조 관련 인재 육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