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도네시아의 연구개발동향 및 과학기술거버넌스 개혁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종합연구센터(SPAP)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10-31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종합연구센터(SPAP)는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력 및 과학기술정책, 조직, 연구개발동향,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에 대해 기술한 보고서를 발표
- 인도네시아의 경우 연구개발보다 사회경제적 수요가 우선시되어 연구자금에 대한 재정 지원이 부족하고, 기초연구의 상업화를 위한 특허제도도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음
- 고등교육을 받은 인재는 증가하면서도 STEM 분야에서는 여전히 취학률이 낮고, 외국과의 인재 교류(인도네시아인의 해외 유학)도 동남아시아 지역 내에서는 가장 소극적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대응해야 할 사항
- (연구 자금 증가)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를 GDP 대비 1%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추진
- (연구기관과 산업계의 연계 강화) 연구성과의 상업화를 촉진하여 경제성장 실현
- (연구 인프라 개선) 최첨단 연구시설에 투자
- (센터 오브 엑설런스 설립) 천연자원·생물자원 등 분야에서 공동연구센터 설립
- (국제협력프로그램 참여 및 접근 확대) 국제 펀딩 프로그램 참여를 장려하고 국제협력을 촉진
-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지식재산권의 틀을 강화하고, 연구자의 인센티브를 높여 해외로부터의 투자 유치
- (과학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개발) 정책입안자, 산업계, 일반 시민으로 구성된 전용 플랫폼을 개발하여 연구의 인지도,영향력 증대
○ 일본과의 협력 가능성
- 공동연구 플랫폼 확대, 연구자의 유동성 강화, 민간부문의 관여 강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강화, 혁신 문화 양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