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기술프로그램 현대화를 통해 교육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미국과학자연맹(FAS)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4-11-14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미국 과학자연맹은 초중등교육법(ESEA,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재승인의 한 부분으로 기술을 통한 교육강화(E2T2, Enhancing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프로그램의 현대화를 제안
- 교육환경에서 디지털 도구의 보급이 증가하고 기술에 기반(technology-enabled)한 교습과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이 만료됨에 따라, 주와 지역에 대한 전담지원이 시급한 상황임
- 재구성된 E2T2는 2024년 국가교육기술계획(NETP,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Plan)에 명시된 디지털 사용, 설계와 접근성 차이를 해결할 수 있음
○ 미국 교육부의 교육기술정책문서인 2024 NETP는 모든 학생들이 디지털 도구를 활발하게 사용하여 학습하고 모든 교육자가 이러한 교실경험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를 제시
-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2011년 자금지원이 없어졌고 2015년 모든 학생 성공법(ESSA, Every Student Succeeds Act)*에서 제외
* 동 법은 시험에 근거한 책무성과 시행방식을 주 정부와 교육구에 되돌려주고 핵심공통과목 개설을 대폭 완화시키고 학생의 학업성적과 연계한 교사평가를 폐지하는 것 등이 주요 골자
- 2024 NETP에서 명시된 3가지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함
- 예를 들어, 재구성된 E2T2는 학생들이 AI 문해력 기술을 구축하고 공동체 문제를 탐색하거나 해결하기 위해 AI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사용격차(digital use divide)'를 해소하도록 자금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국가 AI전략을 지원할 수 있음
- 또한 지원자금은 교육자에게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고 그들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디지털 설계격차(digital design divide)'를 줄일 수 있음
- 마지막으로, 지원자금은 학교가 접근가능한 기술 솔루션을 조달하고 학생들의 보편적인 광대역 접근성을 지원함으로써 '디지털 접근격차(digital access divide)'를 줄일 수 있음
- 교육환경에서 디지털 도구의 보급이 증가하고 기술에 기반(technology-enabled)한 교습과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이 만료됨에 따라, 주와 지역에 대한 전담지원이 시급한 상황임
- 재구성된 E2T2는 2024년 국가교육기술계획(NETP,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Plan)에 명시된 디지털 사용, 설계와 접근성 차이를 해결할 수 있음
○ 미국 교육부의 교육기술정책문서인 2024 NETP는 모든 학생들이 디지털 도구를 활발하게 사용하여 학습하고 모든 교육자가 이러한 교실경험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를 제시
-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2011년 자금지원이 없어졌고 2015년 모든 학생 성공법(ESSA, Every Student Succeeds Act)*에서 제외
* 동 법은 시험에 근거한 책무성과 시행방식을 주 정부와 교육구에 되돌려주고 핵심공통과목 개설을 대폭 완화시키고 학생의 학업성적과 연계한 교사평가를 폐지하는 것 등이 주요 골자
- 2024 NETP에서 명시된 3가지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함
- 예를 들어, 재구성된 E2T2는 학생들이 AI 문해력 기술을 구축하고 공동체 문제를 탐색하거나 해결하기 위해 AI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사용격차(digital use divide)'를 해소하도록 자금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국가 AI전략을 지원할 수 있음
- 또한 지원자금은 교육자에게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고 그들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디지털 설계격차(digital design divide)'를 줄일 수 있음
- 마지막으로, 지원자금은 학교가 접근가능한 기술 솔루션을 조달하고 학생들의 보편적인 광대역 접근성을 지원함으로써 '디지털 접근격차(digital access divide)'를 줄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