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자동차용 연료(휘발유)에 바이오에탄올 도입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11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경제산업성은 11월 11일 개최된 17회 자원・연료분과회 탈탄소연료정책소위원회에서 자동차용 연료(휘발유)에 바디오에탄올 연료 도입을 확대하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운반하기 쉬우며 저장성이 뛰어난 액체 연료가 필수불가결
- 휘발유의 경우 '30년까지 일부 지역에서 직접 혼합을 포함한 바이오 에탄올의 도입 확대를 통해 최대 농도 10%의 저탄소 휘발유 공급을 목표로 추진
- 또한, 더 발전하여 에탄올을 20% 혼합하는 E20 관련 인증제도에 관한 논의를 신속히 시작하여 차량개발 등의 리드타임(제조에서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 후, '30년대에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승용차의 신차 판매에서 E20에 대응하는 차량의 비율 100% 달성을 목표로 추진
- 또한 '40년부터 대응 차량의 보급 상황 및 공급망 관련 대응 상황 등을 판단하여 대상 지역 및 규모를 확대하고, 최대 농도 20%의 저탄소 휘발유의 공급 개시
- 나아가 '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합성연료(e-fuel)에 대해서도 '30년대 초반까지의 상용화 실현을 목표로 필요한 대응을 추진하여 바이오연료 및 합성연료의 활용을 통해 휘발유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추진
- 상기 방침을 바탕으로 향후 관련 단체 및 전문가, 정부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합성연료(e-fuel) 민관협의회에서 전문적 검토를 실시하고, 휘발유에 바이오에탄올 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 액션플랜 수립
- 정부는 이를 위한 제도 및 지원 등 필요한 환경 정비 추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