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국내외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연구개발 및 디지털 활용 동향에 관한 조사연구 성과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총무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11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총무성은 일본 국내외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연구개발 및 디지털 활용 동향에 관한 조사연구 성과보고서를 발표(NTT경영연구소 작성)
○ 정보통신분야의 주요국 정책동향
1) 일본
- '23년 6월 발표된 「경제재정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에서 AI, 양자기술, 건강·의료, 핵융합, 바이오제조 분야에서 민관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투자를 확대하고, 소형군집위성 구축, 로켓발사능력 강화, 일본인의 달 착륙 등 달·화성 탐사·개발 등 우주 분야, 북극을 포함한 해양 분야의 대응 강화를 명시
2) 미국
- 바이든 대통령의 '24년 예산안에는 연방정부의 연구개발비 2,100억 달러가 포함되어 사상 최대의 투자액을 기록하였으며, 동 예산안은 기초 및 응용 연구에 1,000억 달러가 넘는 자금을 투자
- 신흥기술에 대한 투자로서 첨단제조업, 첨단네트워크, 인공지능, 바이오테크놀로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반도체, 양자정보과학 등 미래 산업에서 미국의 우위성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 및 국립연구소, 대학에서의 인공지능, 양자정보과학,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동위체(isotope) 제조 등 최첨단 연구에 대한 지원 제시
- '23년 5월 중요・신흥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국가전략을 발표하고 이들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목표로 투자, 참여, 노동력, 통합성 및 포괄성과 같은 4대 목표 제시
- 테크허브 프로그램('23년 10월 지역혁신 및 테크놀로지 허브 프로그램 1기로 31개의 커뮤니티 허브를 테크허브로 선정하여 반도체 제조, 청정에너지, 생물화학, 인공지능, 양자통신기술 등 추진)
○ 정보통신기술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 관련 동향
- Beyond 5G의 실현을 위해 국가가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Beyond 5G 연구개발 플랫폼(정보통신연구기구 Beyond 5G 연구개발촉진사업, 지역과제해결형 로컬 5G등 실현을 위한 개발 실증 등) 사업 및 체계 정비 중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