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고도화와 그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성과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총무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11
- 등록일 2024-11-22
- 권호 276
○ 총무성은 디지털기술의 발전 및 활용 현황, 현재 발생하고 있는 과제 및 대응방안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NTT데이터경영연구소 작성)
- '23.12.11~'24.3.29 기간 중 일본, 미국, 중국, 독일, 영국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030건의 응답 회수
○ 생성형 AI 관련 연구개발동향
- '24년 2월 경제산업성은 생성형 AI 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기반모델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자원 관련 지원 및 관계자간 협력을 촉진하는 프로젝트 'GENIAC' 개시
- '23년 2월 일본의 alt Inc는 대규모 언어처리모델 'LHTM-2' 개발(OpenAI의 GPT-3와 동일한 수준인 약 1600억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어 기계번역 및 텍스트 생성, 대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 가능)
○ AI 발전의 기술적 전망과 과제
- (언어 외 분야고유기반모델 발전) 대규모 기반모델은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아미노산 배열 및 화학·재료 분야에서의 원소·결합과 같은 언어 이외의 기호 패턴의 학습에 응용함으로써, 그 분야 고유의 예측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되어 이미 실제 과학 연구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과학의 발전에 기여
- (일본판 대규모 언어모델 보급)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우 단기간에 각각의 언어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은 데이터 부족 등의 요인도 있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므로, 일본어 모델 구축 노하우를 동남아시아 각국의 언어에 적용하는 것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 유럽에 대한 경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파악(정부의 전략적 투자가 과제)
- '23.12.11~'24.3.29 기간 중 일본, 미국, 중국, 독일, 영국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030건의 응답 회수
○ 생성형 AI 관련 연구개발동향
- '24년 2월 경제산업성은 생성형 AI 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기반모델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자원 관련 지원 및 관계자간 협력을 촉진하는 프로젝트 'GENIAC' 개시
- '23년 2월 일본의 alt Inc는 대규모 언어처리모델 'LHTM-2' 개발(OpenAI의 GPT-3와 동일한 수준인 약 1600억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어 기계번역 및 텍스트 생성, 대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 가능)
○ AI 발전의 기술적 전망과 과제
- (언어 외 분야고유기반모델 발전) 대규모 기반모델은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아미노산 배열 및 화학·재료 분야에서의 원소·결합과 같은 언어 이외의 기호 패턴의 학습에 응용함으로써, 그 분야 고유의 예측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되어 이미 실제 과학 연구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과학의 발전에 기여
- (일본판 대규모 언어모델 보급)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우 단기간에 각각의 언어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은 데이터 부족 등의 요인도 있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므로, 일본어 모델 구축 노하우를 동남아시아 각국의 언어에 적용하는 것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 유럽에 대한 경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파악(정부의 전략적 투자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