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게놈의료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B-cure) 관련 대응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15
- 등록일 2024-12-06
- 권호 277
○ 문부과학성 차세대 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 형성에 관한 실무그룹은 11월 15일 개최된 1차 회의에서 게놈의료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 관련 대응 및 도호쿠메디컬계획(TMM) 관련 추진현황, 향후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B-cure 관련 대응
- 게놈의료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B-cure)에 따라 바이오뱅크 검색시스템 구축 및 연구플랫폼을 활용한 게놈 분석 등을 통한 기반연구개발, 전략적 게놈 오믹스 분석을 통한 기반 데이터 정비 사업 추진 중
- '21~'25년 추진사업으로 도호쿠메디컬계획(TMM, '25년 33억 엔('24년 22억 엔)), 게놈연구바이오뱅크(7억 엔(5억 엔)), 게놈의료실현추진플랫폼(16억 엔(14억 엔)), 차세대 의료기반을 뒷받침하는 게놈오믹스 분석(2억 엔(2억 엔))이 있음
○ 도호쿠메디컬・메가뱅크(TMM)계획 개요 및 성과
- 15만 명의 시료·건강정보를 보유한 일반주민 바이오뱅크
- 민관이 함께 10만명분의 전체 게놈 분석을 실시(참조패널Reference Panel 공개 준비중)
- 약 8.5만 검체의 메타볼롬 분석 및 약 350 검체의 프로테옴 분석 실시(순차적으로 jMorp에 공개)
- DNA: 약 30만 검체, 혈장: 약 9만 검체, 혈청: 약 7만 검체, 건강정보·게놈정보: 약 900만 건 이상을 학계 및 민간기업에서 활용중
-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메커니즘 규명 등 제약회사의 신약 개발에 기여, 게놈 정보를 활용한 1000편 이상의 논문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연구개발 추진에 기여, 난치병 등 진단 및 규명에 기여, 암 게놈의료에 기여 등 다양한 성과 창출
○ B-cure 관련 대응
- 게놈의료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B-cure)에 따라 바이오뱅크 검색시스템 구축 및 연구플랫폼을 활용한 게놈 분석 등을 통한 기반연구개발, 전략적 게놈 오믹스 분석을 통한 기반 데이터 정비 사업 추진 중
- '21~'25년 추진사업으로 도호쿠메디컬계획(TMM, '25년 33억 엔('24년 22억 엔)), 게놈연구바이오뱅크(7억 엔(5억 엔)), 게놈의료실현추진플랫폼(16억 엔(14억 엔)), 차세대 의료기반을 뒷받침하는 게놈오믹스 분석(2억 엔(2억 엔))이 있음
○ 도호쿠메디컬・메가뱅크(TMM)계획 개요 및 성과
- 15만 명의 시료·건강정보를 보유한 일반주민 바이오뱅크
- 민관이 함께 10만명분의 전체 게놈 분석을 실시(참조패널Reference Panel 공개 준비중)
- 약 8.5만 검체의 메타볼롬 분석 및 약 350 검체의 프로테옴 분석 실시(순차적으로 jMorp에 공개)
- DNA: 약 30만 검체, 혈장: 약 9만 검체, 혈청: 약 7만 검체, 건강정보·게놈정보: 약 900만 건 이상을 학계 및 민간기업에서 활용중
-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메커니즘 규명 등 제약회사의 신약 개발에 기여, 게놈 정보를 활용한 1000편 이상의 논문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연구개발 추진에 기여, 난치병 등 진단 및 규명에 기여, 암 게놈의료에 기여 등 다양한 성과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