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과 의료 분야 인력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20
- 등록일 2024-12-06
- 권호 277
○ OECD는 의료 분야에 AI가 어떻게 도입되고 있으며, 이 새로운 기술의 역할에 대한 의료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함
- WMA(세계의사회)와의 협조를 통해 남/북아메리카, 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릐 대표적인 18개 의료 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함
○ 주요 결과
- 참여 기관의 72%가 의료분야 AI가 가져오는 이득이 위험을 뛰어넘는다고 응답함
- AI가 의료 분야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는 데에 동의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70%는 의사의 역할이 여전히 핵심적일 것이라 응답했으며, AI가 의사나 의료 행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응답은 없었음
- 윤리 문제(94%)와 신뢰가능성(71%)이 의료분야 AI의 주요한 문제임
- 74%가 AI의 의료 활용을 위해 데이터 접근가능성과 시행을 위한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 디지털 기술 활용에 있어 의료 분야 종사자, 환자, 그리고 공공분야의 신뢰와 기술 부족은 이점의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의료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 목표를 1) AI 시대 의료 전문가를 위한 기술(skill) 개발, 2) 최첨단 AI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을 지원하는 인력 양성, 3) 의료 분야 AI의 안전한 관리로 제시함
- WMA(세계의사회)와의 협조를 통해 남/북아메리카, 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릐 대표적인 18개 의료 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함
○ 주요 결과
- 참여 기관의 72%가 의료분야 AI가 가져오는 이득이 위험을 뛰어넘는다고 응답함
- AI가 의료 분야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는 데에 동의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70%는 의사의 역할이 여전히 핵심적일 것이라 응답했으며, AI가 의사나 의료 행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응답은 없었음
- 윤리 문제(94%)와 신뢰가능성(71%)이 의료분야 AI의 주요한 문제임
- 74%가 AI의 의료 활용을 위해 데이터 접근가능성과 시행을 위한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 디지털 기술 활용에 있어 의료 분야 종사자, 환자, 그리고 공공분야의 신뢰와 기술 부족은 이점의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의료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 목표를 1) AI 시대 의료 전문가를 위한 기술(skill) 개발, 2) 최첨단 AI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을 지원하는 인력 양성, 3) 의료 분야 AI의 안전한 관리로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