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동의 의욕적인 AI전략과 선행 투자되는 데이터센터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미쓰비시물산전략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1-25
- 등록일 2024-12-06
- 권호 277
○ 미쓰비시물산전략연구소는 중동의 AI 디지털전략,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데이터센터 현황,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사우디아라비아는 '20년에 발표한 National Strategy for Data and AI에서 '30년까지 AI 분야의 리더가 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연구개발하여 AI 기술을 선도하고자 하고 있음
- 동 전략에 입각하여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KAUST)에서는 국내외에서 우수한 AI 연구자를 초빙하고 있으며, AI를 자율주행, 의료 개인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예정
- 정부계 펀드인 PIF는 AI 펀드인 Alat을 설립하여 파트너십 구축과 고도의 AI 인프라 구축에 1,000억 달러라는 거액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우디의 AI 시장은 '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9%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AI기술의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중요 인프라로써 선행적으로 데이터센터(DC)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어 '23년부터 '30년에 걸쳐 동 지역의 데이터센터 용량은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중동 국가들은 경제 호황 및 저렴한 전력 등으로 데이터센터 건설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세계적인 DC의 확대에 의해 DC의 설계, 건설, 운용에 필요한 전문 인재의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나 중동에서의 에너지원은 대부분이 화석연료인 가운데 세계적 조류가 되고 있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응 등 과제도 있음
- 중동 각국에서는 디지털화 정도가 아직 높지 않아 향후 디지털화가 진행될 여지는 크며, 그만큼 DC 이용 증가도 예상되어 DC에 대한 선행투자에 대한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 추이를 충분히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년에 발표한 National Strategy for Data and AI에서 '30년까지 AI 분야의 리더가 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연구개발하여 AI 기술을 선도하고자 하고 있음
- 동 전략에 입각하여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KAUST)에서는 국내외에서 우수한 AI 연구자를 초빙하고 있으며, AI를 자율주행, 의료 개인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예정
- 정부계 펀드인 PIF는 AI 펀드인 Alat을 설립하여 파트너십 구축과 고도의 AI 인프라 구축에 1,000억 달러라는 거액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우디의 AI 시장은 '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9%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AI기술의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중요 인프라로써 선행적으로 데이터센터(DC)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어 '23년부터 '30년에 걸쳐 동 지역의 데이터센터 용량은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중동 국가들은 경제 호황 및 저렴한 전력 등으로 데이터센터 건설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세계적인 DC의 확대에 의해 DC의 설계, 건설, 운용에 필요한 전문 인재의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나 중동에서의 에너지원은 대부분이 화석연료인 가운데 세계적 조류가 되고 있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응 등 과제도 있음
- 중동 각국에서는 디지털화 정도가 아직 높지 않아 향후 디지털화가 진행될 여지는 크며, 그만큼 DC 이용 증가도 예상되어 DC에 대한 선행투자에 대한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 추이를 충분히 주시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