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24 연구 프런티어 이슈지수>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원 과기전략자문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11-28
- 등록일 2024-12-06
- 권호 277
○ <2024 연구 프런티어 이슈지수> 발표, 중국 전체 순위 2위, 4개 분야 순위 세계 1위를 차지
- 중국과학원 과기전략자문연구원,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센터 및 Clarivate Analytics(科睿唯安)는 <2024 연구 프런티어> 및 해당 이슈지수 발표
- 11개 대학과 분야별 110개 이슈 프론티어와 15개 신흥 프론티어 연구 활성화 현황 종합
- 이슈지수 전체 순위에서 미국은 연속 1위, 중국 2위 차지
- 중국과 미국은 각각 4개와 7개 대학과 분야 연구 프런티어 이슈지수 순위가 세계 1위이며, 양국의 순위 1위인 연구프런티어 수 비중은 각각 1/3과 과반수 차지
○ 주요내용
- '농업과학, 식물학 및 동물학', '생태 및 환경과학', '지구과학', '임상의학', '생물과학', '화학 및 재료과학', '물리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수학, '정보과학', '심리학 및 기타 사회과학' 등 11개의 고도로 집합된 대학과 분야에서 110개 이슈 프런티어와 15개 신흥 프런티어를 선정해 세계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연구 활성수준을 평가
- 이슈지수의 11개 대학과 분야 전체 현황을 종합한 결과, 미국, 중국에 이어, 영국, 독일, 프랑스가 3~5위 차지
※ 이탈리아, 호주, 캐나다, 스페인, 스위스, 네덜란드, 일본, 한국, 벨기에 및 인도가 6~15위를 차지
- 11개 대과학 분야에서 중국은 '농업과학, 식물학 및 동물학', '화학 및 재료과학', '물리학', '정보과학' 등 4개 분야가 1위이고, 미국은 7개 분야에서 1위 차지
- 110개 이슈 프런티어와 15개 신흥 프런티어 가운데 미국 순위 1위인 프런티어 수는 71개로 56.8% 차지, 중국 순위 1위인 프런티어 수는 39개로 31.2% 차지
※ 영국은 4개 프런티어가 1위, 독일과 프랑스는 각각 1개 프런티어가 1위 차지
- 중국과학원 과기전략자문연구원,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센터 및 Clarivate Analytics(科睿唯安)는 <2024 연구 프런티어> 및 해당 이슈지수 발표
- 11개 대학과 분야별 110개 이슈 프론티어와 15개 신흥 프론티어 연구 활성화 현황 종합
- 이슈지수 전체 순위에서 미국은 연속 1위, 중국 2위 차지
- 중국과 미국은 각각 4개와 7개 대학과 분야 연구 프런티어 이슈지수 순위가 세계 1위이며, 양국의 순위 1위인 연구프런티어 수 비중은 각각 1/3과 과반수 차지
○ 주요내용
- '농업과학, 식물학 및 동물학', '생태 및 환경과학', '지구과학', '임상의학', '생물과학', '화학 및 재료과학', '물리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수학, '정보과학', '심리학 및 기타 사회과학' 등 11개의 고도로 집합된 대학과 분야에서 110개 이슈 프런티어와 15개 신흥 프런티어를 선정해 세계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연구 활성수준을 평가
- 이슈지수의 11개 대학과 분야 전체 현황을 종합한 결과, 미국, 중국에 이어, 영국, 독일, 프랑스가 3~5위 차지
※ 이탈리아, 호주, 캐나다, 스페인, 스위스, 네덜란드, 일본, 한국, 벨기에 및 인도가 6~15위를 차지
- 11개 대과학 분야에서 중국은 '농업과학, 식물학 및 동물학', '화학 및 재료과학', '물리학', '정보과학' 등 4개 분야가 1위이고, 미국은 7개 분야에서 1위 차지
- 110개 이슈 프런티어와 15개 신흥 프런티어 가운데 미국 순위 1위인 프런티어 수는 71개로 56.8% 차지, 중국 순위 1위인 프런티어 수는 39개로 31.2% 차지
※ 영국은 4개 프런티어가 1위, 독일과 프랑스는 각각 1개 프런티어가 1위 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