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제3국(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한일산업협력 현황 및 가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12-06
- 등록일 2024-12-20
- 권호 278
○ 일본무역진흥기구는 제3국(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의 한일 기업 진출 현황 및 협력 가능성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인도
- 제트로, KOTRA 등에 따르면 인도에는 약 1400개의 일본계 기업, 약 500개의 한국계 기업이 진출하고 있으며 양국 모두 제조업이 60% 이상으로 높은 비중 차지
-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관련(한국은 '자동차, 기타 수송 장비', 일본은 '수송기계기구') 진출이 가장 활발하며 대표적 기업으로 멀티 스즈키(인도 국내 점유율 1위)와 현대차(2위)를 들 수 있음
- 한일 산업협력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①한일 기업이 합작으로 제3국에 조인트벤처(JV)나 특정목적회사(SPC)를 설립하는 형태 ②한일 기업이 제3국에서 각각을 고객으로 삼는 형태(부품 및 소재, 제조 장치 등의 상호 조달·납품 등) ③서로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형태가 있음
- 인도에서는 전자 분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데, 전자 분야는 미중 대립에 의한 리스크 분산을 추구하고, 중국의 생산 거점을 인도에 이전하는 수요 및 인도의 내수 목적으로 한일 기업 모두 진출 확대가 전망되는 분야로 특히 인도 시장에서 일본은 부품과 소재, 제조장치에, 한국은 최종 제품 조립에 강점을 갖고 있어 양국의 분야가 분화되어 있음
- 한국의 대창단조는 일본의 신코쇼지와 인도합작법인 트랙디자인(Track Design India)을 설립(대창단조가 66.7%의 지분을 보유, 신코쇼지가 33.3%의 지분 보유)하고 첸나이에서 건설기계 트럭체인 생산 중
○ 인도
- 제트로, KOTRA 등에 따르면 인도에는 약 1400개의 일본계 기업, 약 500개의 한국계 기업이 진출하고 있으며 양국 모두 제조업이 60% 이상으로 높은 비중 차지
-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관련(한국은 '자동차, 기타 수송 장비', 일본은 '수송기계기구') 진출이 가장 활발하며 대표적 기업으로 멀티 스즈키(인도 국내 점유율 1위)와 현대차(2위)를 들 수 있음
- 한일 산업협력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①한일 기업이 합작으로 제3국에 조인트벤처(JV)나 특정목적회사(SPC)를 설립하는 형태 ②한일 기업이 제3국에서 각각을 고객으로 삼는 형태(부품 및 소재, 제조 장치 등의 상호 조달·납품 등) ③서로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형태가 있음
- 인도에서는 전자 분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데, 전자 분야는 미중 대립에 의한 리스크 분산을 추구하고, 중국의 생산 거점을 인도에 이전하는 수요 및 인도의 내수 목적으로 한일 기업 모두 진출 확대가 전망되는 분야로 특히 인도 시장에서 일본은 부품과 소재, 제조장치에, 한국은 최종 제품 조립에 강점을 갖고 있어 양국의 분야가 분화되어 있음
- 한국의 대창단조는 일본의 신코쇼지와 인도합작법인 트랙디자인(Track Design India)을 설립(대창단조가 66.7%의 지분을 보유, 신코쇼지가 33.3%의 지분 보유)하고 첸나이에서 건설기계 트럭체인 생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