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성AI 관련 실태조사 2024 - 헬스케어/병원/의약/의료기기 업계의 활용 동향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PW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06
- 등록일 2024-12-20
- 권호 278
○ PWC는 헬스케어 및 의료 등 업계에서 AI 활용에 관한 의식 및 현황, 과제 및 거버넌스 동향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AI 관련 추진 현황 및 관심) 업계별 추진 정도를 보면 '23년 하반기의 3위에서 9위로 하락했으며 관심은 높으나 전체 업계에 비해 '매우 관심이 있다'의 비율은 낮은 편
- (기대·위협 관련 인식) '자사 업무의 효율화'에 대한 기대가 높고, 라이벌이 활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으며, 전체 업계 평균에 비해 생성형 AI가 업계 구조를 근본부터 변혁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 (활용 현황) 문서 작성 및 데이터 분석, 콘텐츠 작성 등의 영역에서 생성형 AI가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업무 효율화 및 데이터 처리의 고속화가 기대되는 분야에서의 도입 추진중
- (생성형 AI 활용 관련 과제) 생성형 AI 추진 관련 과제로서는 '인재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 업계 평균에 비해 생성형 AI 활용의 가치 및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견해도 장벽으로 작용
- (생성형 AI 관련 거버넌스) 생성형 AI 거버넌스의 경우 사업부 단위로의 대응이 진행되고 있으며, 회사 전체적인 정책 및 가이드라인의 정비는 추진되고 있으나, 실제 리스크 관리 및 운용시 부서별로 다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음.
- (AI 관련 추진 현황 및 관심) 업계별 추진 정도를 보면 '23년 하반기의 3위에서 9위로 하락했으며 관심은 높으나 전체 업계에 비해 '매우 관심이 있다'의 비율은 낮은 편
- (기대·위협 관련 인식) '자사 업무의 효율화'에 대한 기대가 높고, 라이벌이 활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으며, 전체 업계 평균에 비해 생성형 AI가 업계 구조를 근본부터 변혁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 (활용 현황) 문서 작성 및 데이터 분석, 콘텐츠 작성 등의 영역에서 생성형 AI가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업무 효율화 및 데이터 처리의 고속화가 기대되는 분야에서의 도입 추진중
- (생성형 AI 활용 관련 과제) 생성형 AI 추진 관련 과제로서는 '인재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 업계 평균에 비해 생성형 AI 활용의 가치 및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견해도 장벽으로 작용
- (생성형 AI 관련 거버넌스) 생성형 AI 거버넌스의 경우 사업부 단위로의 대응이 진행되고 있으며, 회사 전체적인 정책 및 가이드라인의 정비는 추진되고 있으나, 실제 리스크 관리 및 운용시 부서별로 다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