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 우주 산업의 미래 개척 ~미국·인도 우주산업 생태계에서의 시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미즈호은행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06
  • 등록일 2024-12-20
  • 권호 278
○ 미즈호은행은 일본의 우주산업 관련 현황, 해외(미국, 인도) 우주산업 생태계로부터의 시사점, 일본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대응방안 등에 대해 기술한 보고서를 발표
- '24.3 설치된 우주전략기금은 우주 스타트업 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고 우주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 정책으로 10년간 1조엔의 투자를 예정하고 있어 방위예산 인상과 맞물려 일본 우주산업은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타트업 기업들은 기술 개발 및 시장 확대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가 용이해져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
- 일본 내에 100개가 넘는 우주 스타트업 기업이 탄생했고, QPS 연구소 등과 같이 국제적으로 평가받는 기업도 있으며, 로켓발사 비용 절감으로 스타트업 기업의 진입이 촉진되는 등 일본의 우주산업은 큰 성장의 기회 맞이
- 그러나, 일본 내 우주산업은 한정된 정부 수요에 의존하고 있으며, 우주전략기금의 지원이 「우주 기기산업」에 집중되어 있어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우주 이용 서비스산업」 및 「사용자 산업」으로 확대하여 상업화를 목표로 하는 기업에 대한 구체적 지원대응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
- 미국의 우주산업은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기술 혁신과 상업화가 진행되고 있으며(스페이스X의 성공 등) 애자일 개발 기법과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술을 활용해 경쟁력 제고
- 인도 또한 저비용 고효율 우주 미션을 실현하여 인도우주연구기구(ISRO)의 기술 제공과 인력 소개, 발사 서비스 제공, 외자 유치를 통해 민간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구축중
- 일본의 우주 산업이 한정된 관 수요에 계속 의지할 경우 비용 감축 및 기술 혁신이 진행되지 않고, 해외 의존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기업이 함께 민간의 수요를 환기하는 것이 중요
- 미국의 상업화 지원 모델 및 인도의 육성 지원 모델을 참고로 일본도 스타트업 기업의 상업화 지원 및 육성 지원의 고도화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