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FY2025 국방수권법, 다양한 미군 작전을 위한 더 많은 AI 및 양자 정보 과학 프로그램을 재규정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넥스트고브(Nextgov)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09
- 등록일 2024-12-20
- 권호 278
○ 2025년 국방수권법(NDAA,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은 국방부가 사이버 보안 및 방위 작전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양자 정보 과학(QIS)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1,438억 규모의 과학 및 기술 연구 개발 예산을 승인함
- 2025년도 국방수권법은 첨단 기술 적용 및 국제 협력을 통해 방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핵무기 시스템에서 AI활용을 규제하기 위한 정책성명서(Statement of Policy)를 수립하고 대통령이 이러한 무기를 사용하기 위한 결정을 실행할 때 적극적인 인간행동을 요구함
○ AI의 다른 조항에서, NDAA는 AI도구를 개발시키기 위한 2개의 시범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음
(1) 국가안보 주도의 바이오테크놀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단기적 활용사례 개발
(2) 특정 워크플로우나 운영작업을 위한 AI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 동 법안은 또한 국방부 장관이 AI기반 무기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니터링을 전담하는 센터의 설립가능성을 평가할 것을 요구
- 양자정보과학 측면에서, NDAA는 DARPA의 양자벤치마킹 프로그램에서 자금지원을 가속화하고 협력을 증진시켜 국방임무에 '중요한 양자역량'을 신속하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
- 또한 동법은 Pentagon이 부서의 임무영역에서 양자정보과학 및 기술을 위한 새로운 전략계획을 만들 것을 요구하고 있음
- 2025년도 국방수권법은 첨단 기술 적용 및 국제 협력을 통해 방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핵무기 시스템에서 AI활용을 규제하기 위한 정책성명서(Statement of Policy)를 수립하고 대통령이 이러한 무기를 사용하기 위한 결정을 실행할 때 적극적인 인간행동을 요구함
○ AI의 다른 조항에서, NDAA는 AI도구를 개발시키기 위한 2개의 시범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음
(1) 국가안보 주도의 바이오테크놀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단기적 활용사례 개발
(2) 특정 워크플로우나 운영작업을 위한 AI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 동 법안은 또한 국방부 장관이 AI기반 무기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니터링을 전담하는 센터의 설립가능성을 평가할 것을 요구
- 양자정보과학 측면에서, NDAA는 DARPA의 양자벤치마킹 프로그램에서 자금지원을 가속화하고 협력을 증진시켜 국방임무에 '중요한 양자역량'을 신속하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
- 또한 동법은 Pentagon이 부서의 임무영역에서 양자정보과학 및 기술을 위한 새로운 전략계획을 만들 것을 요구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