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한국의 주요 대학과 기업의 협력 동향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 종합연구센터(SPAP)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12-13
  • 등록일 2024-12-20
  • 권호 278
○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 종합연구센터는 한국 대학의 운영 현황, 연구비 및 연구실 운영현황, 한국의 주요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 등에 대해 정리한 자료를 발표
- 한국의 경우 학령인구 감소 및 입학정원·등록금 인상 규제로 대학 재정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
- 대학의 연구비는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 지원이 70% 이상으로 민간은 약 15%
- 국내 대학은 법인격이 없어 산학협력계약을 맺거나 지적재산권 취득이 어려웠기 때문에 법 제정에 따라 '04년부터 법인격을 지닌 해당 대학의 산학협력 전담조직으로 산학협력단 설치
- 지금은 대부분의 대학에 산학협력단이 설치되어 연구 성과의 활용, 산학 협력을 통한 교육·공동연구 등 추진 중
- 최근 반도체 및 2차전지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인재 부족으로 대학이 기업과 계약을 맺어 기업으로의 채용을 전제로 학생을 모집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가 증가 중
- 계약학과는 기업에서 우수한 인재를 조기에 확보하여 기업의 수요에 맞춘 인재를 육성하는 제도로 주목받고 있으며, 빠른 단계에서 회사를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의 적응 능력 향상이 기대되고 있음
- 취업난, 대기업 지향이 강한 가운데 계약학과의 경우 대기업으로의 취업 보장, 수업료 및 학업 장려금의 지급·연수·인턴십 등으로 우수한 인재를 유치할 수 있었으나, 한편으로 뿌리 깊은 「의대 선호」경향이 우수한 인재의 확보를 저해하고 있음
- 삼성·현대차·SK·LG·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에서는 선두권 대학을 중심으로 한 산학협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으며, 대학과의 공동연구는 연구개발 뿐 아니라 인재육성 및 확보를 위한 주요 수단이 되고 있음
- 산학협력의 기업측 핵심은 재벌 대기업이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배터리·AI·바이오 등 폭넓은 기술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대학과 인재육성, 공동연구 실시 중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