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양자소재활용기반기술 창출 관련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17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는 지난 9월 14일 개최한 과학기술미래전략워크숍 '양자물질 활용 기반기술 창출'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무아레 무늬(나노 물결 무늬), 비에르미트, 반강자성 스핀트로닉스 등 최첨단 양자 소재 분야에서의 기초 연구가 착실히 진전되고 있는 한편, 차세대 디바이스로서 실용화를 고려한 연구는 한정적
- 따라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는 양자 소재 R&D를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연구개발체제가 필수불가결하며,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를 위한 과제를 양자 소재를 활용한 R&D에 톱다운 방식으로 도입하여 기초연구와 활용기반기술이 서로 과제를 공유하고 신규 기능을 보유한 디바이스를 실증하는 방향성이야말로 일본이 전통적으로 강점을 갖는 고체물성연구와 상용화를 연결하는 가교가 된다고 판단하여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동 워크숍을 개최
- 최첨단 양자소재 기초연구(1부)에서 무아레 초격자, 비에르미트 광학, 스핀트로닉스 등, 양자소재 연구에 필요한 기반기술(2부)에서 양자 소재의 합성·가공기술, 이론, 계측기술, 양자소재의 실용화를 향한 대응(3부)에서는 기업에서의 신규 소재 개발 관련 대응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질의응답 실시
- 자유토론을 통해 양자 소재의 신규 기능 발휘에 필요한 소재물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연구, 양자 소재의 재료물성을 신규기능 발휘로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활용기반기술, 산업계를 포함한 양자소재 R&D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 등에 대해 논의
- 무아레 무늬(나노 물결 무늬), 비에르미트, 반강자성 스핀트로닉스 등 최첨단 양자 소재 분야에서의 기초 연구가 착실히 진전되고 있는 한편, 차세대 디바이스로서 실용화를 고려한 연구는 한정적
- 따라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는 양자 소재 R&D를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연구개발체제가 필수불가결하며,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를 위한 과제를 양자 소재를 활용한 R&D에 톱다운 방식으로 도입하여 기초연구와 활용기반기술이 서로 과제를 공유하고 신규 기능을 보유한 디바이스를 실증하는 방향성이야말로 일본이 전통적으로 강점을 갖는 고체물성연구와 상용화를 연결하는 가교가 된다고 판단하여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동 워크숍을 개최
- 최첨단 양자소재 기초연구(1부)에서 무아레 초격자, 비에르미트 광학, 스핀트로닉스 등, 양자소재 연구에 필요한 기반기술(2부)에서 양자 소재의 합성·가공기술, 이론, 계측기술, 양자소재의 실용화를 향한 대응(3부)에서는 기업에서의 신규 소재 개발 관련 대응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질의응답 실시
- 자유토론을 통해 양자 소재의 신규 기능 발휘에 필요한 소재물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연구, 양자 소재의 재료물성을 신규기능 발휘로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활용기반기술, 산업계를 포함한 양자소재 R&D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 등에 대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