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태양전지 공급망 - 중국의 시장지배, 세계 각국에서 추진중인 대책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자연에너지재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18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자연에너지재단은 최신 데이터와 정보를 바탕으로 세계 태양전지의 공급망 다양화에 대해 검증한 보고서를 발표
- 태양전지 공급망을 제조공정별로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셀, 모듈로 나누면 중국 내 및 중국 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대체로 80% 이상이며 100%에 가까운 경우도 있어 미국, 유럽,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등 전세계에서 공급망의 다양화를 위한 대응 추진 중
-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배경에는 정부의 지원정책, 업체들의 수직통합형・효율적 생산, 저렴한 전기요금 등이 작용
- 미국의 경우 각종 보조금(세액공제 등)과 보호무역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역내 제조 능력 향상과 중국의 저렴한 수입품 활용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전기요금 인하, 온실가스 감축이 더 시급한 과제이므로 역내로부터의 공급보다 태양광 발전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쪽을 우선시하고 있음
- 일본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주력하고 있으나 아직 상용화가 실현된 상황은 아니므로 결정실리콘은 계속 도입 중
- 별로 주목받지 못했으나, 동남아시아와 인도가 태양전지 공급망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는데, 동남아시아의 경우 인건비가 낮고 에너지 분야에 대한 지원정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인도의 경우 국내 생산 의무 요건과 관세 도입
- 태양전지 재활용과 페로브스카이트 등 신기술에 따라 '30년대에는 중국산 결정 실리콘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대책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강화가 필요
- 중국은 세계 태양전지 공급망에서 앞으로도 어느 정도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세계에서 제조 능력의 다양화가 진행될 경우 태양전지의 공급망은 현재보다 안정적으로 추이할 것으로 전망
- 태양전지 공급망을 제조공정별로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셀, 모듈로 나누면 중국 내 및 중국 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대체로 80% 이상이며 100%에 가까운 경우도 있어 미국, 유럽,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등 전세계에서 공급망의 다양화를 위한 대응 추진 중
-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배경에는 정부의 지원정책, 업체들의 수직통합형・효율적 생산, 저렴한 전기요금 등이 작용
- 미국의 경우 각종 보조금(세액공제 등)과 보호무역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역내 제조 능력 향상과 중국의 저렴한 수입품 활용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전기요금 인하, 온실가스 감축이 더 시급한 과제이므로 역내로부터의 공급보다 태양광 발전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쪽을 우선시하고 있음
- 일본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주력하고 있으나 아직 상용화가 실현된 상황은 아니므로 결정실리콘은 계속 도입 중
- 별로 주목받지 못했으나, 동남아시아와 인도가 태양전지 공급망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는데, 동남아시아의 경우 인건비가 낮고 에너지 분야에 대한 지원정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인도의 경우 국내 생산 의무 요건과 관세 도입
- 태양전지 재활용과 페로브스카이트 등 신기술에 따라 '30년대에는 중국산 결정 실리콘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대책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강화가 필요
- 중국은 세계 태양전지 공급망에서 앞으로도 어느 정도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세계에서 제조 능력의 다양화가 진행될 경우 태양전지의 공급망은 현재보다 안정적으로 추이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