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식품순환자원의 재생이용 등 촉진에 관한 기본방침(안)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환경성(ENV) 농림수산성(MAF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27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중앙환경심의회 순환형사회WG 식품재활용전문위원회는 식품·농업·농촌정책심의회 식품산업WG 식품재활용 소위원회와의 합동 회의에서 보고서 「향후의 식품 재활용 제도의 방향성」을 작성하고, 동 보고서를 바탕으로「식품순환자원의 재생이용 등 촉진에 관한 기본방침(안)」을 작성하여 발표(의견 수렴 실시 중)
○ 발생 억제(식품 폐기 감축)
- 기업의 식품 폐기 감축 목표 「'30년까지 '00년 대비 50% 감축」을 앞당겨 달성한 것을 반영하여 「'30년까지 '00년 대비 60% 감축」과 같은 새로운 목표 제시
-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대응 실시
・식품 관련 사업자가 실시해야 하는 대응으로서 식품 제공 활동(푸드뱅크 등)을 위한 노력, 거래처의 식품 관련 사업자가 식품폐기물 등 발생 억제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도록 3분의 1 규정(식품의 제조일에서 유통기한까지를 3개로 나누어 '납품기한은 제조일로부터 3분의 1 시점까지' '판매기한은 유통기한의 3분의 2 시점까지'를 한도로 한다는 규정)등의 재검토 추진
・국민에게 사업자의 대응을 보다 알기 쉬운 형태로 홍보할 수 있도록 푸드뱅크 등에 대한 식품 기부량의 정기 보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조치(정부의 웹사이트 뿐 아니라 유가증권보고서, 통합보고서 및 인터넷 등 활용)
・사업자 대응의 가시화, 미활용 식품의 기부 촉진, AI에 의한 수요 예측, 남은 음식물의 테이크아웃 장려 등 대응 강화
○ 연구개발 및 신기술활용 촉진
- 최근 IT 및 AI, 전자 태그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푸드 쉐어링 서비스 및 다이나믹 프라이싱(가격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전략)의 도입을 통한 매출 강화, 식품의 수요 예측 정교화 및 재고 관리의 효율화에 의한 재고 감축 등 식품 폐기 감축을 위한 새로운 대응을 추진중으로 국가와 지자체는 관계자와 협력하여 이들 기술을 활용한 대응 추진 필요
○ 발생 억제(식품 폐기 감축)
- 기업의 식품 폐기 감축 목표 「'30년까지 '00년 대비 50% 감축」을 앞당겨 달성한 것을 반영하여 「'30년까지 '00년 대비 60% 감축」과 같은 새로운 목표 제시
-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대응 실시
・식품 관련 사업자가 실시해야 하는 대응으로서 식품 제공 활동(푸드뱅크 등)을 위한 노력, 거래처의 식품 관련 사업자가 식품폐기물 등 발생 억제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도록 3분의 1 규정(식품의 제조일에서 유통기한까지를 3개로 나누어 '납품기한은 제조일로부터 3분의 1 시점까지' '판매기한은 유통기한의 3분의 2 시점까지'를 한도로 한다는 규정)등의 재검토 추진
・국민에게 사업자의 대응을 보다 알기 쉬운 형태로 홍보할 수 있도록 푸드뱅크 등에 대한 식품 기부량의 정기 보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조치(정부의 웹사이트 뿐 아니라 유가증권보고서, 통합보고서 및 인터넷 등 활용)
・사업자 대응의 가시화, 미활용 식품의 기부 촉진, AI에 의한 수요 예측, 남은 음식물의 테이크아웃 장려 등 대응 강화
○ 연구개발 및 신기술활용 촉진
- 최근 IT 및 AI, 전자 태그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푸드 쉐어링 서비스 및 다이나믹 프라이싱(가격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전략)의 도입을 통한 매출 강화, 식품의 수요 예측 정교화 및 재고 관리의 효율화에 의한 재고 감축 등 식품 폐기 감축을 위한 새로운 대응을 추진중으로 국가와 지자체는 관계자와 협력하여 이들 기술을 활용한 대응 추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