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24년 정부 혁신의 트렌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2-19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공공 서비스는 정부와 국민, 기업 및 조직의 주요 연결지점이며, 공공 서비스의 품질은 시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침
- 공공 서비스가 신뢰성, 대응성, 공정성 등을 확보할 때 정부 및 공무원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강화될 수 있음
- 2008년 경제 위기나 국제적인 분쟁, 코로나19와 같은 사건들은 공공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들이었으며, 동 보고서는 83개 국가의 800여 개 공공 서비스를 분석함으로써 각국 정부가 현재와 미래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공 서비스를 발전 및 적응시키는 과정을 정리함
○ 공공서비스 혁신의 5개 트렌드
1) 함께 만들어나가는 미래지향 공공 서비스: 사용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솔루션을 공동 설계하고, 미래의 필요를 예측하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탄력적이며 지속가능한 공공 서비스
2) 효율적인 공공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및 혁신 기반: 확장가능한 디지털 인프라에 투자하고 자동화, 인공지능, 모듈형 코드와 같은 기술을 시험하는 등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공공 서비스를 효율화
3) 접근성 및 포용성을 위한 능동적이고 개인화된 공공 서비스: 국민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고, 심리적 비용과 행정적 마찰을 줄이며, 취약한 개인 및 집단에 더 포용적인 공공 서비스
4)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공공 서비스: 공공 서비스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해 기존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새로운 데이터 소스를 실험적으로 활용
5) 대중 참여의 기회로써 공공 서비스: 공공 서비스를 시민의 권리를 행사하고 신뢰를 구축하며 민주적 가치를 지키는 기회로 활용
- 공공 서비스가 신뢰성, 대응성, 공정성 등을 확보할 때 정부 및 공무원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강화될 수 있음
- 2008년 경제 위기나 국제적인 분쟁, 코로나19와 같은 사건들은 공공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들이었으며, 동 보고서는 83개 국가의 800여 개 공공 서비스를 분석함으로써 각국 정부가 현재와 미래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공 서비스를 발전 및 적응시키는 과정을 정리함
○ 공공서비스 혁신의 5개 트렌드
1) 함께 만들어나가는 미래지향 공공 서비스: 사용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솔루션을 공동 설계하고, 미래의 필요를 예측하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탄력적이며 지속가능한 공공 서비스
2) 효율적인 공공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및 혁신 기반: 확장가능한 디지털 인프라에 투자하고 자동화, 인공지능, 모듈형 코드와 같은 기술을 시험하는 등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공공 서비스를 효율화
3) 접근성 및 포용성을 위한 능동적이고 개인화된 공공 서비스: 국민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고, 심리적 비용과 행정적 마찰을 줄이며, 취약한 개인 및 집단에 더 포용적인 공공 서비스
4)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공공 서비스: 공공 서비스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해 기존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새로운 데이터 소스를 실험적으로 활용
5) 대중 참여의 기회로써 공공 서비스: 공공 서비스를 시민의 권리를 행사하고 신뢰를 구축하며 민주적 가치를 지키는 기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