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와 인력훈련의 미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안보유망기술센터(CSET)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4-12-16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미국 안보유망기술센터(CSET)는 신흥기술로서의 인공지능(AI)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고, AI로 인한 직업 훈련 및 재훈련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보고서를 발표
- 이러한 변화의 특성은 ①AI가 직업의 핵심업무를 수행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정도, ②AI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지 여부 등 두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짐
○ 미래 인력수요에 대한 분석은 다음의 경향성을 보임
- 기술역량(technical skills)이 여전히 중요하며 수요가 많은 기술의 약 27%를 차지하지만, 핵심기술의 대부분은 비 기술적임
- 기반기술(수학과 액티브 러닝), 사회적 기술(사회적 인식과 협상), 사고력 기술(복잡한 문제해결과 비판적 사고) 등이 증가하는 직업에 필요한 기술의 거의 58%를 차지하고 있음
○ 직업 전반에 걸친 AI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노동자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재교육과 업스킬링 기회의 필요성이 증가함을 나타냄
- 2년제 대학(Community colleges)은 특히 고용주와 중개인이 포함된 강력한 지역 생태계로 통합될 경우, 이러한 도전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핵심기관으로 부상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의 노동개발 환경에서는 상당한 도전과제가 남아 있음
- 여기에는 파편화된 훈련 시스템, 부족한 공적자금, 노동력보다 자본 투자를 선호하는 규제적인 역인센티브(regulatory disincentives) 등이 포함됨
○ 향후 성공적인 인력개발은 다면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함
- 2년제 대학 프로그램 강화, 대안적 경력경로 확대, AI 문해력을 훈련 이니셔티브로 통합 등
- 이러한 변화의 특성은 ①AI가 직업의 핵심업무를 수행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정도, ②AI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지 여부 등 두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짐
○ 미래 인력수요에 대한 분석은 다음의 경향성을 보임
- 기술역량(technical skills)이 여전히 중요하며 수요가 많은 기술의 약 27%를 차지하지만, 핵심기술의 대부분은 비 기술적임
- 기반기술(수학과 액티브 러닝), 사회적 기술(사회적 인식과 협상), 사고력 기술(복잡한 문제해결과 비판적 사고) 등이 증가하는 직업에 필요한 기술의 거의 58%를 차지하고 있음
○ 직업 전반에 걸친 AI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노동자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재교육과 업스킬링 기회의 필요성이 증가함을 나타냄
- 2년제 대학(Community colleges)은 특히 고용주와 중개인이 포함된 강력한 지역 생태계로 통합될 경우, 이러한 도전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핵심기관으로 부상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의 노동개발 환경에서는 상당한 도전과제가 남아 있음
- 여기에는 파편화된 훈련 시스템, 부족한 공적자금, 노동력보다 자본 투자를 선호하는 규제적인 역인센티브(regulatory disincentives) 등이 포함됨
○ 향후 성공적인 인력개발은 다면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함
- 2년제 대학 프로그램 강화, 대안적 경력경로 확대, AI 문해력을 훈련 이니셔티브로 통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