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견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의 방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종합연구소(JR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1-09
- 등록일 2025-01-17
- 권호 279
○ 일본종합연구소는 중견기업 관련 일본의 대응에 대해 소개하고, 중견기업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바탕으로 대기업과 구별하여 지원하는 것의 의의를 검토한 후 중견기업 지원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기술한 보고서를 발표
- 정부의 기존 기업지원제도는 기업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중소기업에 전면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포함되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정부는 이러한 중소기업 중심 지원을 재검토하여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 제도의 정비를 추진하기 시작
- 새롭게 지원제도를 정비하는 중견기업의 범위는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직원 2,000명 이하의 기업으로 법적으로 정해졌으며, 여기에 해당하는 기업은 국내 기업 전체의 0.3%에 불과하나, 직원수는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등 일본 경제에 일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
-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고 투자 자금과 인력 확보 능력도 부족하므로, 정부의 성장 지원이 사업 확대와 생산성 향상의 계기가 될 수 있으나,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제도를 정비하는 이유로서 중견기업을 중소기업과 동일하게 대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으나 지방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로 간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됨.
- 중견기업의 생산성은 중소기업의 1.5배이고, 지방의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가 되지 않기 때문에 중견기업을 중소기업과 동일하게 지원해도 생산성 향상 및 지방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오히려 성장 의욕 및 신진대사를 저해하는 기업 지원의 폐해만 두드러질 수 있음.
- 중견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견기업에 있어 중요한 경영과제에 초점을 맞춘 지원정책이 필요하며, 즉 구체적으로는 ①사업의 확대를 위한 인력 확보 ②이미 해외에 진출해 있는 기업을 포함한 해외에서의 판로 확대 ③연구개발의 규모 확대 등을 지원하는 대응 필요
- 정부의 기존 기업지원제도는 기업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중소기업에 전면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포함되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정부는 이러한 중소기업 중심 지원을 재검토하여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 제도의 정비를 추진하기 시작
- 새롭게 지원제도를 정비하는 중견기업의 범위는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직원 2,000명 이하의 기업으로 법적으로 정해졌으며, 여기에 해당하는 기업은 국내 기업 전체의 0.3%에 불과하나, 직원수는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등 일본 경제에 일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
-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고 투자 자금과 인력 확보 능력도 부족하므로, 정부의 성장 지원이 사업 확대와 생산성 향상의 계기가 될 수 있으나,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제도를 정비하는 이유로서 중견기업을 중소기업과 동일하게 대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으나 지방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로 간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됨.
- 중견기업의 생산성은 중소기업의 1.5배이고, 지방의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가 되지 않기 때문에 중견기업을 중소기업과 동일하게 지원해도 생산성 향상 및 지방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오히려 성장 의욕 및 신진대사를 저해하는 기업 지원의 폐해만 두드러질 수 있음.
- 중견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견기업에 있어 중요한 경영과제에 초점을 맞춘 지원정책이 필요하며, 즉 구체적으로는 ①사업의 확대를 위한 인력 확보 ②이미 해외에 진출해 있는 기업을 포함한 해외에서의 판로 확대 ③연구개발의 규모 확대 등을 지원하는 대응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