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차세대 ISS를 고려한 현 ISS의 과학적 이용 촉진 ~미소중력과학/생명과학의 관점에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1-15
  • 등록일 2025-01-24
  • 권호 280
○ 문부과학성 우주개발이용WG 국제우주정거장·국제우주탐사소위원회는 1월 15일 개최된 67회 회의에서 차세대 국제우주정거장(ISS)을 고려한 현 ISS의 과학적 이용 촉진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ISS의 과학연구성과 실증 및 발전
- 달 표면의 중력장을 이용하여 ISS에서 이루어진 미소중력과학 연구의 성과를 실증·발전시키고, 특히 저중력, 극저온, 저자기장, 태양방사선 등 달 환경 고유의 특성을 조합함으로써 지구 이외의 중력 천체에서도 활용 가능한 과학기술 구축
○ 유인행성탐사의 경제성·안전성 추구
- 유인우주활동을 달과 화성까지 확대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의식주, 에너지 공급, 통신망, 제조·재활용, 자원 이용 등 행성 거주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불가피하므로, 이를 위해 일본이 우위성을 지닌 지상에서의 기술을 활용하여 달 행성 탐사의 경제성·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의 확립에 기여
○ 산학관 등 일본 전체에서 프로젝트 추진
- 국제 협력 하에 아르테미스계획·행성탐사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소형 달착륙 실증기 계획 및 후속 사업을 고려한 선도적 우주실험프로젝트를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민간의 협력 하에 추진
○ 차세대 ISS의 과제
- 특정 기업 및 국가에게 독점될 우려(일본의 연구자가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 실험실시비용(중개 및 협상, 자료 작성, 물자 인도, 노하우 계승, 지원체제 등)
- 실험실시 기회 확보(제안 채택에서 실시까지의 기간, 민간의 상황에 따른 강제적 실험 일정 변경 가능성 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