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부 연구개발의 스필오버 효과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 경제사회종합연구소(ESR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1-27
  • 등록일 2025-02-07
  • 권호 280
○ 내각부 경제사회종합연구소는 정부 R&D가 경제 전체 및 민간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경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 기법에 관한 최신 동향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기존의 연구는 국가별로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정부 R&D는 경제성장 및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요인으로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음
- 특히 일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정부 지출에 의한 R&D 투자가 일관적으로 경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고 있어 총요소생산성(TFP) 향상 및 민간기업의 생산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점이 시사됨
- 또한, 스필오버 효과의 정량화를 위해서는 「기술적 근접성」의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밝혀졌는데, 기술적 근접성이란 다른 분야간 지식 및 기술이 어느 정도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 R&D가 다른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함
- 동 자료에서는 '학술 분야-기술 분야의 기술적 근접성'과 '기술 분야-산업 분야의 기술적 근접성'의 두 가지 종류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들이 지식의 이전 및 기술혁신의 평가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논의
- 두 개의 근접성을 통합하여 평가함으로써 정부 R&D가 학술연구에서 산업 응용으로의 지식의 흐름 및 다른 분야간 기술 제휴를 어떻게 촉진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정부 R&D가 경제 전체 및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단서가 제공됨.
- 향후 각 국가별 특성에 따른 상세한 분석과 함께 산업 분야별 경제효과의 평가 및 지역적 스필오버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공간 정보의 활용을 통해 정부 R&D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해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