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DeepSeek가 알려주는 것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2-05
  • 등록일 2025-02-21
  • 권호 281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는 DeepSeek라는 AI 스타트업의 부상을 통해 인공지능(AI)의 미래 방향과 주요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DeepSeek는 AI 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한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AI 활용을 재정의하는 혁신적 기술을 선보이고 있으며, 2025년 1월 DeepSeek의 R1모델이 출시됨에 따라 AI가치사슬 전반에서는 시장 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AI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성창할 수 있는 유용한 순간이며, 비즈니스 리더들이 이 순간으로부터 배워야 할 5가지 교훈은 다음과 같음
1) 패턴인식에서 문제해결까지
- 2023년과 2024년에는 대규모 언어모델이 주목받았지만 2025년에는 자율적으로 추론하고 계획하며 작동하는 AI 시스템에 경외심을 갖게 될 것임
2) AI의 경제적 변곡점(Inflection Point)
- DeePSeek R1을 둘러싼 가장 큰 헤드라인 중 하나는 개발비가 550만 달러라는 것으로, OpenAI, Anthropic, Google이나 다른 모델 R1과 비교하더라도 개발비용 추정치가 훨씬 낮음
3) 오픈소스와 독점 AI의 공존
- DeePSeek R1과 같은 개발을 기대했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기본경제학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비용이점은 잘 알려져있음
- 현재로서는 우리는 승자독식의 시나리도보다는 다양한 행위자를 갖춘 시장구조를 예상할 수 있음
4) 실리콘 희소성(Silicon Scarcity)이 알고리즘 혁신을 주도
- DeePSeek R1에 대한 또 다른 반응은 중국이 프런티어 AI모델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줄인 것 같다는 '놀라운' 뉴스에 놓여져있음
- 실리콘 제약은 중국 연구자들에게 원래 컴퓨터 전력보다 알고리즘 효율성을 우선시하게 만들었음
5) DeePSeek R1이 모든 것을 바꾸지는 않음
- 서구의 메이저 AI랩과 하이퍼스케일러는 아찔한 수준으로 투자를 지속할 것이며, 최첨단 GPU와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을 것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