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24년판 스타트업 생태계 조사 -말레이시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무역진흥기구 (JETRO)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2-07
- 등록일 2025-02-21
- 권호 281
○ 일본무역진흥기구는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의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털 육성 관련 정책 및 생태계 현황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말레이시아 정부는 '30년까지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20위 내에 드는 것을 비전으로 내걸고 있으며, '전세계에서 말레이시아의 혁신 허브로서의 지위 확립' '전략적 섹터 구축'을 비전 실현을 위한 방침으로 제시
-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MOSTI)는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 '21년 「말레이시아 스타트업 생태계 로드맵(SUPER) 2021-2030」발표
○ 성과 목표
- (혁신적이고 양질의 스타트업 수 증가) △'30년까지 사업 초창기 자금 조달의 GDP 대비 비율을 0.3%→0.4%로 상향 조정 △'30년까지 10,000명의 프로그래머 배출 △'25년까지 5,000개 스타트업의 창업을 지원
-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경제 및 산업의 성장 가속화) △'30년까지 특허건수 10,000건 △GDP 대비 연구개발비 총액 비중 3.5% 증가
- (국내외 유니콘 기업의 성장 촉진) △국가별 창업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 '글로벌 창업 생태계 순위'에서 창업능력 및 자금에 대한 접근성, 규제 환경 등 환경 요소와 같은 개별 항목에서 '25년까지 상위 25위 진입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세계 경쟁력 순위 '창업' 부문 상위 20위 진입 △ '30년까지 글로벌 혁신지수(GII)의 '지식·기술 아웃풋'에서 상위 20위 진입 △'25년까지 5개의 로컬 또는 말레이시아발 유니콘 창출
○ 국가의 지원 정책
- 초기 단계에서는 정부 주도로 정책을 추진하여 창업가가 제품을 시험하고 시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하는 National Technology &Innovation Sandbox Fund를 제공하고, 중기에는 하이테크 기업의 상업화 비용에 최대 60만 링깃을 제공하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후기에는 민간 주도로 자금이 획득 가능한 체제 정비를 목표로 추진
- 말레이시아 정부는 '30년까지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20위 내에 드는 것을 비전으로 내걸고 있으며, '전세계에서 말레이시아의 혁신 허브로서의 지위 확립' '전략적 섹터 구축'을 비전 실현을 위한 방침으로 제시
-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MOSTI)는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 '21년 「말레이시아 스타트업 생태계 로드맵(SUPER) 2021-2030」발표
○ 성과 목표
- (혁신적이고 양질의 스타트업 수 증가) △'30년까지 사업 초창기 자금 조달의 GDP 대비 비율을 0.3%→0.4%로 상향 조정 △'30년까지 10,000명의 프로그래머 배출 △'25년까지 5,000개 스타트업의 창업을 지원
-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경제 및 산업의 성장 가속화) △'30년까지 특허건수 10,000건 △GDP 대비 연구개발비 총액 비중 3.5% 증가
- (국내외 유니콘 기업의 성장 촉진) △국가별 창업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 '글로벌 창업 생태계 순위'에서 창업능력 및 자금에 대한 접근성, 규제 환경 등 환경 요소와 같은 개별 항목에서 '25년까지 상위 25위 진입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세계 경쟁력 순위 '창업' 부문 상위 20위 진입 △ '30년까지 글로벌 혁신지수(GII)의 '지식·기술 아웃풋'에서 상위 20위 진입 △'25년까지 5개의 로컬 또는 말레이시아발 유니콘 창출
○ 국가의 지원 정책
- 초기 단계에서는 정부 주도로 정책을 추진하여 창업가가 제품을 시험하고 시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하는 National Technology &Innovation Sandbox Fund를 제공하고, 중기에는 하이테크 기업의 상업화 비용에 최대 60만 링깃을 제공하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후기에는 민간 주도로 자금이 획득 가능한 체제 정비를 목표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