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스타트업 정책 - 지금까지의 대응 및 진척상황 등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25-02-13
- 등록일 2025-02-21
- 권호 281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혁신·환경분과회 혁신 소위원회는 2.13 개최된 6회 회의에서 스타트업 정책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지금까지 스타트업의 저변은 확대되었으므로, 앞으로는 '규모 확대' 및 '지속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5개년계획에서 제시된 각종 정책을 총동원하고 특히 중요 과제에 중점적으로 대응할 예정
○ 향후 추진방향
- (성장자금, M&A 촉진) △일본의 경우 VC 펀드 규모가 작아 성장 단계에서 자금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미국은 연금기금 등의 비율이 높고(60%), 유럽은 정부기관의 출자 비율이 높은 데 비해 일본은 사업회사가 약 30%, 은행 및 보험사가 약 30%로 미국, 유럽보다 민간의 비율이 높은 수준 △상장 후 큰 성장을 이루는 기업은 적으므로 상장 전 성장과 함께 상장 후에도 크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정비가 필요
- (글로벌 생태계 허브로 도약) 해외로부터의 투자 및 인재, 투자계약 실무 등 글로벌 생태계와의 연계 강화가 과제
- (딥테크 성장) 현재 유망한 연구개발 기술(시드)가 존재하고, 대학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에서 사업화까지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 스타트업과 경영 인력과의 협업, 사업 회사에 의한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 조달의 전략적 활용 등을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발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지역 생태계 구축) 대학의 강점 및 산업집적 등 지역의 특성, 사회과제 해결형 스타트업에 주목하여 지역 중점 분야 및 지역생태계 구축, 지자체 조달 등 수요 창출을 통한 스타트업 성장기회 확보
※ 그밖에 스타트업 관련 주요 지원정책 목록 및 예산, 경제산업성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 등 내용 포함
- 지금까지 스타트업의 저변은 확대되었으므로, 앞으로는 '규모 확대' 및 '지속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5개년계획에서 제시된 각종 정책을 총동원하고 특히 중요 과제에 중점적으로 대응할 예정
○ 향후 추진방향
- (성장자금, M&A 촉진) △일본의 경우 VC 펀드 규모가 작아 성장 단계에서 자금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미국은 연금기금 등의 비율이 높고(60%), 유럽은 정부기관의 출자 비율이 높은 데 비해 일본은 사업회사가 약 30%, 은행 및 보험사가 약 30%로 미국, 유럽보다 민간의 비율이 높은 수준 △상장 후 큰 성장을 이루는 기업은 적으므로 상장 전 성장과 함께 상장 후에도 크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정비가 필요
- (글로벌 생태계 허브로 도약) 해외로부터의 투자 및 인재, 투자계약 실무 등 글로벌 생태계와의 연계 강화가 과제
- (딥테크 성장) 현재 유망한 연구개발 기술(시드)가 존재하고, 대학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에서 사업화까지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 스타트업과 경영 인력과의 협업, 사업 회사에 의한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 조달의 전략적 활용 등을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발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지역 생태계 구축) 대학의 강점 및 산업집적 등 지역의 특성, 사회과제 해결형 스타트업에 주목하여 지역 중점 분야 및 지역생태계 구축, 지자체 조달 등 수요 창출을 통한 스타트업 성장기회 확보
※ 그밖에 스타트업 관련 주요 지원정책 목록 및 예산, 경제산업성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 등 내용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