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우주산업 관련 향후 대응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2-14
- 등록일 2025-02-21
- 권호 281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제조산업분과회 우주산업소위원회는 2.14 개최된 3회 회의에서 우주산업의 향후 대응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지금까지 경제산업성은 기기·기술의 개발·실증을 중심으로 대응해 왔으나, '23.6 우주기본계획이 개정되어 JAXA의 전략적, 탄력적 자금공급기능 강화 및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의 전략적 육성, 지원방침이 제시됨에 따라 '24년 신설된 우주전략기금을 활용하여 실시방침에 따른 기술개발 주제에 대해 대규모로 지속적 지원을 실시함으로써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한 대응을 개시
○ 우주전략기금 관련 대응현황
- (상업 위성 컨스텔레이션(군집) 구축 가속화: 950억엔/7년 이내) 광통신, 소형 SAR, 소형 다파장 등 위성 컨스텔레이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자가 양산·발사 등의 속도를 가속화함으로써 위성의 기능·성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위성 컨스텔레이션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의 상용화를 조속히 실현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지원
- (위성 공급망 구축을 위한 위성 부품·컴포넌트 개발·실증: 180억엔/6년 이내) 위성의 공급망상 과제(성능, 가격, 조달 문제 등)를 해소함으로써 위성산업 전체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의 위성 공급망 구축상 중요한 부품·컴포넌트의 기술 개발·실증 지원
- (고체모터 주요 소재 양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48억엔 / 5년 이내)일본이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간 로켓 및 민간 로켓 양쪽에서 활용되는 고체모터 양산화의 장애가 되고 있는 주요 소재의 제조 능력 강화 외에 추진제 제조 공정의 단축·고도화에 기여하는 기술개발 실시
○ 우주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방향성
- 우주전략기금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정책을 종합적으로 실시하여 위성의 양산 및 로켓의 고빈도 발사 등이 가능한 강인한 우주 공급망을 보유한 산업구조 구축을 목표로 추진
- 지금까지 경제산업성은 기기·기술의 개발·실증을 중심으로 대응해 왔으나, '23.6 우주기본계획이 개정되어 JAXA의 전략적, 탄력적 자금공급기능 강화 및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의 전략적 육성, 지원방침이 제시됨에 따라 '24년 신설된 우주전략기금을 활용하여 실시방침에 따른 기술개발 주제에 대해 대규모로 지속적 지원을 실시함으로써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한 대응을 개시
○ 우주전략기금 관련 대응현황
- (상업 위성 컨스텔레이션(군집) 구축 가속화: 950억엔/7년 이내) 광통신, 소형 SAR, 소형 다파장 등 위성 컨스텔레이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자가 양산·발사 등의 속도를 가속화함으로써 위성의 기능·성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위성 컨스텔레이션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의 상용화를 조속히 실현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지원
- (위성 공급망 구축을 위한 위성 부품·컴포넌트 개발·실증: 180억엔/6년 이내) 위성의 공급망상 과제(성능, 가격, 조달 문제 등)를 해소함으로써 위성산업 전체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의 위성 공급망 구축상 중요한 부품·컴포넌트의 기술 개발·실증 지원
- (고체모터 주요 소재 양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48억엔 / 5년 이내)일본이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간 로켓 및 민간 로켓 양쪽에서 활용되는 고체모터 양산화의 장애가 되고 있는 주요 소재의 제조 능력 강화 외에 추진제 제조 공정의 단축·고도화에 기여하는 기술개발 실시
○ 우주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방향성
- 우주전략기금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정책을 종합적으로 실시하여 위성의 양산 및 로켓의 고빈도 발사 등이 가능한 강인한 우주 공급망을 보유한 산업구조 구축을 목표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