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성형 AI를 수용・활용하는 사회의 실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학술회의(SCJ)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2-27
  • 등록일 2025-03-07
  • 권호 282
○ 일본학술회의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수용, 활용하는 사회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제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
○ 작성 배경
-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에는 모든 학술 및 산업 분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치는 포괄성, 향후 인간과 공존하는 지적 존재가 될 수 있는 혁신성 및 이러한 특징들이 급속히 진전하는 가속성 등의 특징이 있어 위협과 과제가 공존하는 한편 사회에 대한 파급효과도 커 인류 사회의 중요 과제에 해결책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현황 및 동향, 위협과 과제, 활용에 의한 파급효과에 대해 학계로서 깊이 통찰하고, 생성형 AI를 수용·활용하는 사회의 실현을 위해 어떠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
○ 제안 내용
- (생성형 AI 연구개발의 바람직한 체제 구축) △일본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방적인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생성형 AI 연구개발 관련 국가전략 추진 △일본 국내 생성형 AI 연구자 커뮤니티 강화 및 국제적 연구협력 추진 필요
- (생성형 AI모델의 적절한 운용) △생성형 AI모델이 사이버 공격 및 물리적 공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되어야 하며 이들 공격을 탐지, 회피하는 안정적 시스템 구축 필요 △AI기술에서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신속하고 적절히 대응 가능한 체제 구축
- (책임 있는 생성형 AI 상용화를 위한 제도 설계) △기존 규제 모델에서는 복잡하고 변화가 극심한 AI가 초래하는 다양한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으므로 애자일(신속, 반복적)하게 여러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지향 △정부는 사고 조사에 대한 관계자의 적극적 협력을 촉진하는 제도 설계, 사고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구제 제도 설계 등 실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