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논문·특허맵으로 본 환경·에너지 분야 및 소재 관련 연구의 영향·전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2-28
- 등록일 2025-03-07
- 권호 282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환경·에너지 분야의 논문 및 특허정보를 바탕으로 동 분야의 대상이 되는 광범위한 기술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논문·특허상 각국의 위치 및 주력 분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환경·에너지 분야에 소재 관련 연구가 끼친 영향 및 동향 등 분석
- 환경·에너지 분야에 관련된 논문·특허 모집단을 작성하고, 이들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논문·특허를 클러스터링하여 지도로서 가시화한 후 그 중 소재에 관련된 문헌을 추출하여 지도상에서 가시화
- 여러 논문·특허로 구성된 기술 분야 및 관련 문헌수가 현재 수십 건 정도에 불과한 새로운 키워드 구문을 대상으로 성장 가능성을 판정하여 향후 성장이 기대되고, 환경을 고려하면서 친환경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기술 분야 추출
- 분석 결과 국가별로 주력 분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국의 경우 다양한 기술 분포 및 문헌수 증가로 현저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리튬이온전지 및 촉매, 환경 관련 기술의 문헌이 많이 보였으며, 미국의 경우 기후변화 분석에 관한 문헌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PV 및 리튬이온전지 관련 문헌수가 상대적으로 많았음
- 특허 건수의 경우 태양광 발전에 관한 특허 건수가 최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한편, 에너지 저장에 관한 특허 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태양광 발전 기술이 시장 도입으로 진행되어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저장·수송 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점을 시사
- 환경·에너지 관련 분야의 다양한 영역에서 소재 관련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필요한 기술의 보급과 도입을 염두에 두고 분야간 연계를 강화하는 대응이 중요
- 논문·특허상 각국의 위치 및 주력 분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환경·에너지 분야에 소재 관련 연구가 끼친 영향 및 동향 등 분석
- 환경·에너지 분야에 관련된 논문·특허 모집단을 작성하고, 이들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논문·특허를 클러스터링하여 지도로서 가시화한 후 그 중 소재에 관련된 문헌을 추출하여 지도상에서 가시화
- 여러 논문·특허로 구성된 기술 분야 및 관련 문헌수가 현재 수십 건 정도에 불과한 새로운 키워드 구문을 대상으로 성장 가능성을 판정하여 향후 성장이 기대되고, 환경을 고려하면서 친환경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기술 분야 추출
- 분석 결과 국가별로 주력 분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국의 경우 다양한 기술 분포 및 문헌수 증가로 현저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리튬이온전지 및 촉매, 환경 관련 기술의 문헌이 많이 보였으며, 미국의 경우 기후변화 분석에 관한 문헌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PV 및 리튬이온전지 관련 문헌수가 상대적으로 많았음
- 특허 건수의 경우 태양광 발전에 관한 특허 건수가 최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한편, 에너지 저장에 관한 특허 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태양광 발전 기술이 시장 도입으로 진행되어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저장·수송 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점을 시사
- 환경·에너지 관련 분야의 다양한 영역에서 소재 관련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필요한 기술의 보급과 도입을 염두에 두고 분야간 연계를 강화하는 대응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