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딥시크, 화웨이, 수출통제 그리고 미-중 AI경쟁의 미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전략국제연구센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07
  • 등록일 2025-03-21
  • 권호 283
○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중국의 AI 연구개발 기업 DeepSeek이 미국의 AI 반도체 수출 통제를 우회했을 가능성, 화웨이의 역할, 그리고 미·중 AI 경쟁의 미래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보고서는 딥시크의 기원과 성과, 지정학적 함의와 결과적으로 미국과 동맹국들의 결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주요 과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며, AI의 미래와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의 미래에 대한 딥시크의 함의에 대해 특히 주목
○ 보고서는 비록 딥시크의 성공이 이전의 미국 수출통제의 실패를 부분적으로 반영했지만 이러한 통제가 중국과의 AI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미국의 전략을 지원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할 수 있다고 평가
○ 미국이 중국과의 AI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가 필수적
1) 대규모 AI 반도체 밀수를 방지하는 것
2) 화웨이와 SMIC가 엔비디아와 TSMC로 대표되는 국제 선두 기업에 맞설 수 있는 중국산 AI 반도체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
○ 보고서는 미국의 AI 반도체 수출 통제는 중국의 AI 발전을 지연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분석
- DeepSeek을 비롯한 중국 AI 기업들은 우회적인 반도체 조달 및 알고리즘 최적화를 통해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AI 반도체 기술 격차 및 공급망 제약이 중국 AI 경쟁력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
- AI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유지하는 것이 향후 미·중 기술 경쟁의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며 향후 미국 정부가 AI 칩 수출 통제의 시행 방식과 지적재산권 보호 전략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미·중 AI 경쟁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