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차세대 식·영양연구 - 지구 환경의 지속 가능성과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식품·영양의 실현 -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07
  • 등록일 2025-03-21
  • 권호 283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지구환경의 지속가능성과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식품·영양의 실현을 위한 학제적 연구로 「차세대형 식품·영양연구」에 대한 제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
- 차세대형 식품·영양 연구란 식품·영양과 건강/질환간 관계의 근저에 있는 메커니즘을 분자~개체 수준에서 통합적으로 규명하고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개입법을 상용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식품·영양을 실현하고자 하는 연구를 의미
- 식품·영양 연구는 그 복잡성과 연구방법의 한계로 인해 메커니즘의 본질적 이해가 어렵고 모호한 점이 많이 남아 있으나, 최근의 계측·분석기술 및 AI·데이터 과학의 발전을 통해 식생활 및 영양 상태의 정량적 평가 및 영양·대사 메커니즘의 규명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배경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에 따라 동 전략 제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7개 항목의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을 제안
- ①음식·영양 관련 분자의 동적 네트워크의 통합적 규명 ② 음식·영양에 의한 대사의 항상성 유지/변용/파탄기구의 통합적 규명 ③식품·영양으로 인한 질환 발병/중증화 메커니즘의 규명 및 선제적 모달리티 창출 ④음식·영양에 관한 최첨단 계측/데이터 분석/평가 관련 기술개발 ⑤음식·영양에 관한 실제 세계 데이터(RWD) 수집·기반 구축 ⑥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으로의 변혁에 따른 식생활 검토 ⑦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식품·영양 실현을 위한 추진방안 검토
- ①~⑦의 각 과제는 통합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연구 성과의 최대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연구추진체제로서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가상의 연구소 구축을 제안
- 상기 가상연구소에서 각 과제의 해결을 위해 필요한 연구기반 정비 및 기초연구, 임상연구, 상용화에 이르는 일련의 연구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이러한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식품·영양의 실현을 가속화하면서 관련 산업(헬스케어, 식품, 음료, 제약, 보험 등)의 활성화, 의료·간병비의 적정화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창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