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25년도 정부업무보고>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앙인민정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03-05
- 등록일 2025-03-21
- 권호 283
○ 리창 총리,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3차 회의 개막식에서 <2025년도 정부업무보고> 발표
- (목차) 2024년 업무 회고, 2025년 경제사회 발전의 총체적 요구사항과 정책적 방향, 2025년 정부 업무과제
- (2024년 업무 회고) 과기실력 지속 증가, 혁신주도형 발전 대대적 추진, 산업구조 고도화 촉진
※ 과학기술 강국 건설 추진, 국가과기중대전문프로젝트 전면 가동,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 시스템 개선 가속화, 첨단/혁신인재 양성 강화
- (2025년 요구사항 및 정책적 방향) 내수 확대, 과기혁신과 산업혁신 간 융합발전 촉진
※ 과기혁신, 그린성장, 소비진작 및 민영기업과 마이크로소기업 등에 대한 지원 확대, 취업 확대
○ 2025년 10대 정부 업무과제 제시
- 현지의 실정에 적합한 신질생산력 발전, 현대화 산업시스템 구축 가속화
※ 상용우주/저고도 경제 등 신흥산업의 안전하고 건전한 발전 촉진, 바이오제조, 양자과학기술, 임보디드 인텔리전스, 6G 등 미래산업 육성
※ 유니콘 기업, 가젤기업의 발전 지원
※ '인공지능+'행동 지속 추진, 대형 모델의 광범위한 응용 지원
※ 커넥티드 신에너지차, 인공지능 스마트폰과 인공지능 컴퓨터, 지능형 로봇과 같은 차세대 지능형 단말기와 스마트제조장비 대대적으로 개발
- 과교흥국전략 심층 실시, 국가혁신시스템 전반 효과 극대화
※ 교육 강국 건설 3년 액션플랜 제정 및 실시, 학과 설치 조정메커니즘과 인재양성 모델 개선, 교육대국에서 교육 강국으로의 매진 가속화
- 고수준 과학기술 자립자강 추진
※ 핵심기술 연구개발과 프런티어/파괴적 기술 연구개발 강화, 과학기술 지출이 기초연구에 무게중심을 두도록 추진
- 인재풀은 전면적으로 질적 향상
- 고수준 대외개방 확대, '일대일로' 고품질 공동구축 본격화
- '3농'사업 확보에 주력, 농촌 전면진흥 심층 추진
- 탄소감축 오염물감소 그린성장 확대 협동추진, 경제사회 발전의 전면적 녹색 전환 가속화
- 민생 보장과 개선 강도를 높이고, 사회 거버넌스 효과 향상
- (목차) 2024년 업무 회고, 2025년 경제사회 발전의 총체적 요구사항과 정책적 방향, 2025년 정부 업무과제
- (2024년 업무 회고) 과기실력 지속 증가, 혁신주도형 발전 대대적 추진, 산업구조 고도화 촉진
※ 과학기술 강국 건설 추진, 국가과기중대전문프로젝트 전면 가동,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 시스템 개선 가속화, 첨단/혁신인재 양성 강화
- (2025년 요구사항 및 정책적 방향) 내수 확대, 과기혁신과 산업혁신 간 융합발전 촉진
※ 과기혁신, 그린성장, 소비진작 및 민영기업과 마이크로소기업 등에 대한 지원 확대, 취업 확대
○ 2025년 10대 정부 업무과제 제시
- 현지의 실정에 적합한 신질생산력 발전, 현대화 산업시스템 구축 가속화
※ 상용우주/저고도 경제 등 신흥산업의 안전하고 건전한 발전 촉진, 바이오제조, 양자과학기술, 임보디드 인텔리전스, 6G 등 미래산업 육성
※ 유니콘 기업, 가젤기업의 발전 지원
※ '인공지능+'행동 지속 추진, 대형 모델의 광범위한 응용 지원
※ 커넥티드 신에너지차, 인공지능 스마트폰과 인공지능 컴퓨터, 지능형 로봇과 같은 차세대 지능형 단말기와 스마트제조장비 대대적으로 개발
- 과교흥국전략 심층 실시, 국가혁신시스템 전반 효과 극대화
※ 교육 강국 건설 3년 액션플랜 제정 및 실시, 학과 설치 조정메커니즘과 인재양성 모델 개선, 교육대국에서 교육 강국으로의 매진 가속화
- 고수준 과학기술 자립자강 추진
※ 핵심기술 연구개발과 프런티어/파괴적 기술 연구개발 강화, 과학기술 지출이 기초연구에 무게중심을 두도록 추진
- 인재풀은 전면적으로 질적 향상
- 고수준 대외개방 확대, '일대일로' 고품질 공동구축 본격화
- '3농'사업 확보에 주력, 농촌 전면진흥 심층 추진
- 탄소감축 오염물감소 그린성장 확대 협동추진, 경제사회 발전의 전면적 녹색 전환 가속화
- 민생 보장과 개선 강도를 높이고, 사회 거버넌스 효과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