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스마트 모빌리티사회 구축 관련 동향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13
- 등록일 2025-03-21
- 권호 283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협의회, 녹색혁신사업분과위원회, 산업구조전환WG은 3월 13일 개최된 30회 회의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사회 구축 관련 동향에 대해 발표
- 스마트 모빌리티사회 구축 사업은 운수 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동률이 높고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상용차가 계획적으로 운행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운행 관리와 유기적인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사회 동향 및 상용화를 위한 대응은 다음과 같음
○ 상용차의 전동화
- 일본 내 승용차 신차 판매는 약 50%가 전동차이나, 상용차의 경우 신차 판매의 몇 %에 불과
- 중국, 유럽을 중심으로, EV트럭·버스의 도입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 국내의 EV트럭·버스의 판매 대수는 1,000대 미만으로 시장 형성이 과제
- 경제산업성은 '충전 인프라 정비 촉진을 위한 지침'을 수립('23.10)하여 편리하고 지속 가능한 충전 인프라 사회 구축을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 (목표: '30년까지 공공용 급속 충전기 3만대를 포함한 충전 인프라를 30만대 설치)
- '23.10 수소기본전략을 발표하고 모빌러티 수소 민관협의회에서 민관이 협력하여 연료전지 상용차의 보급에 대해 검토('30년 연료전지 상용차 보급목표 소형트럭 1.2~2.2만대, 대형트럭 5,000대)
○ 자율주행
- 미국과 중국에서는 자율주행택시의 상용화에 대한 대응이 추진되는 한편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전동차 및 버스에서 레벨4 서비스를 상용화했으나, 택시의 경우 실증 단계
○ 상용화를 위한 대응
- 에너지절약법 개정에 규제·지원일체형 촉진정책으로 상용차 전동화 촉진사업을 실시하고 트럭, 버스, 택시에 EV, FCV 차량 도입 보조 실시중
- 스마트 모빌리티사회 구축 사업은 운수 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동률이 높고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상용차가 계획적으로 운행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운행 관리와 유기적인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사회 동향 및 상용화를 위한 대응은 다음과 같음
○ 상용차의 전동화
- 일본 내 승용차 신차 판매는 약 50%가 전동차이나, 상용차의 경우 신차 판매의 몇 %에 불과
- 중국, 유럽을 중심으로, EV트럭·버스의 도입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 국내의 EV트럭·버스의 판매 대수는 1,000대 미만으로 시장 형성이 과제
- 경제산업성은 '충전 인프라 정비 촉진을 위한 지침'을 수립('23.10)하여 편리하고 지속 가능한 충전 인프라 사회 구축을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 (목표: '30년까지 공공용 급속 충전기 3만대를 포함한 충전 인프라를 30만대 설치)
- '23.10 수소기본전략을 발표하고 모빌러티 수소 민관협의회에서 민관이 협력하여 연료전지 상용차의 보급에 대해 검토('30년 연료전지 상용차 보급목표 소형트럭 1.2~2.2만대, 대형트럭 5,000대)
○ 자율주행
- 미국과 중국에서는 자율주행택시의 상용화에 대한 대응이 추진되는 한편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전동차 및 버스에서 레벨4 서비스를 상용화했으나, 택시의 경우 실증 단계
○ 상용화를 위한 대응
- 에너지절약법 개정에 규제·지원일체형 촉진정책으로 상용차 전동화 촉진사업을 실시하고 트럭, 버스, 택시에 EV, FCV 차량 도입 보조 실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