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우주전략기금 실시방침 (경제산업성) 2기 기술개발주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13
- 등록일 2025-03-21
- 권호 283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제조산업분과회 우주산업소위원회는 3월 13일 개최된 4회 회의에서 우주전략기금 실시방침을 발표
- 기술개발주제로 총 6개 주제를 설정하여 약 1,000억 엔을 투자할 계획(문부과학성(예산 1,550억 엔)과 총무성(예산 450억 엔)에서도 실시방침을 발표했으며, 결정 후 JAXA로부터 순차적으로 공모가 시작될 예정)
○ 우주수송(총액 445억 엔)
- 우주 수송의 경우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로켓 부품·컴포넌트 등 개발」에 총액 195 억엔(1건당 상한 40억 엔·10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4년),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로켓제조 프로세스 쇄신」에 총액 245억 엔(1건당 상한 60억 엔·10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4년), 「사격장에서의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범용 설비에 관한 본연의 자세에 대한 실현가능성 조사」에 총액 5억 엔(1건 당 상한 5억 엔·1건 채택 예정·지원기간 최장 2년) 지원
○ 위성데이터(총액 176억 엔)
- 위성데이터의 경우 「위성데이터 이용시스템 상용화 가속화 사업」에 총액 176억 엔(1건당 상한은 기업 규모 및 국가·지역에 따라 달라 최대 30억 엔·38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5년)을 지원하여 '30년까지 약 10건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솔루션의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 공통기반(총액 350억 엔)
- 공통 기반기술의 경우 「혁신적 위성 미션기술 실증지원」에 총액 120억 엔(1건당 상한 70억엔·3건 채택 예정·지원기간 최장 5년), 「우주선의 환경시험과제 해결」에 총액 230억엔(1건당 지원 총액은 기술개발 추진체제에 따라 다르나 최대 80억엔·6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5년) 지원
- 일본이 지속적으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30년을 목표로 첨단적·혁신적 위성미션구상에 대한 개발·실증을 실시하여 사업 종료 후 5년 이내에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 기술개발주제로 총 6개 주제를 설정하여 약 1,000억 엔을 투자할 계획(문부과학성(예산 1,550억 엔)과 총무성(예산 450억 엔)에서도 실시방침을 발표했으며, 결정 후 JAXA로부터 순차적으로 공모가 시작될 예정)
○ 우주수송(총액 445억 엔)
- 우주 수송의 경우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로켓 부품·컴포넌트 등 개발」에 총액 195 억엔(1건당 상한 40억 엔·10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4년),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로켓제조 프로세스 쇄신」에 총액 245억 엔(1건당 상한 60억 엔·10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4년), 「사격장에서의 고빈도 발사에 기여하는 범용 설비에 관한 본연의 자세에 대한 실현가능성 조사」에 총액 5억 엔(1건 당 상한 5억 엔·1건 채택 예정·지원기간 최장 2년) 지원
○ 위성데이터(총액 176억 엔)
- 위성데이터의 경우 「위성데이터 이용시스템 상용화 가속화 사업」에 총액 176억 엔(1건당 상한은 기업 규모 및 국가·지역에 따라 달라 최대 30억 엔·38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5년)을 지원하여 '30년까지 약 10건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솔루션의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 공통기반(총액 350억 엔)
- 공통 기반기술의 경우 「혁신적 위성 미션기술 실증지원」에 총액 120억 엔(1건당 상한 70억엔·3건 채택 예정·지원기간 최장 5년), 「우주선의 환경시험과제 해결」에 총액 230억엔(1건당 지원 총액은 기술개발 추진체제에 따라 다르나 최대 80억엔·6건 채택 예정·지원 기간은 최장 5년) 지원
- 일본이 지속적으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30년을 목표로 첨단적·혁신적 위성미션구상에 대한 개발·실증을 실시하여 사업 종료 후 5년 이내에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