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SEAN 지역의 2025년 지정학적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5-03-17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일본무역진흥기구는 ASEAN 지역의 정치 및 경제 전망, 미중 간 긴장관계로 인한 영향, 공급망 유치 경쟁, 반도체 등 중요 산업 관련 정책 동향, 안보 전망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트럼프 행정부는 1기 후반에 베트남을 최악의 부정행위국이라 하였으나 현재까지는 동남아시아에 대해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음.
- 앞으로 반도체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말레이시아에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에 의약품을 대량으로 수출하는 싱가포르('24년 150억 달러) 또한 의약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
- 일부 정부, 특히 베트남과 태국은 위협이 현실화되기 전에 그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려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베트남은 미국으로부터 항공기, 액화천연가스(LNG), 하이테크 제품 등을 보다 많이 구입할 의향을 강조하였으며, 태국은 미국으로부터 에탄(최소 100만t)과 대두류 등 농산물 수입 확대를 검토 중
- ASEAN은 미국, 중국과 무역·투자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양국 관계의 영향을 받기 쉬우나,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직접투자(FDI)도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것으로 전망
○ 반도체
- ASEAN 지역 반도체 조립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말레이시아는 미국의 최대 반도체 수출국이나, ASEAN 역내에서의 경쟁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숙련된 노동자의 부족 및 타지역과의 경쟁 등에 직면
- ASEAN 최대 반도체 수출국인 싱가포르는 연구개발 및 설계, 특수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설비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
○ 데이터센터
- 싱가포르는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나, 말레이시아(최근에는 인도네시아도 해당)는 싱가포르에 비해 규제가 적기 때문에 테크놀로지 대기업으로부터 데이터센터로 고액의 FDI를 유치하고 있으며, 세금 면제 및 외국 자본 소유 규제 완화 등 FDI 인센티브가 ASEAN에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확대를 뒷받침하고 있음
- 트럼프 행정부는 1기 후반에 베트남을 최악의 부정행위국이라 하였으나 현재까지는 동남아시아에 대해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음.
- 앞으로 반도체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말레이시아에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에 의약품을 대량으로 수출하는 싱가포르('24년 150억 달러) 또한 의약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
- 일부 정부, 특히 베트남과 태국은 위협이 현실화되기 전에 그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려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베트남은 미국으로부터 항공기, 액화천연가스(LNG), 하이테크 제품 등을 보다 많이 구입할 의향을 강조하였으며, 태국은 미국으로부터 에탄(최소 100만t)과 대두류 등 농산물 수입 확대를 검토 중
- ASEAN은 미국, 중국과 무역·투자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양국 관계의 영향을 받기 쉬우나,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직접투자(FDI)도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것으로 전망
○ 반도체
- ASEAN 지역 반도체 조립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말레이시아는 미국의 최대 반도체 수출국이나, ASEAN 역내에서의 경쟁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숙련된 노동자의 부족 및 타지역과의 경쟁 등에 직면
- ASEAN 최대 반도체 수출국인 싱가포르는 연구개발 및 설계, 특수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설비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
○ 데이터센터
- 싱가포르는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나, 말레이시아(최근에는 인도네시아도 해당)는 싱가포르에 비해 규제가 적기 때문에 테크놀로지 대기업으로부터 데이터센터로 고액의 FDI를 유치하고 있으며, 세금 면제 및 외국 자본 소유 규제 완화 등 FDI 인센티브가 ASEAN에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확대를 뒷받침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