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의 발전에 따라 확대되는 사업 및 서비스 전망(유럽)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19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일본무역진흥기구는 주요국에서 AI 발전에 따라 확대되는 사업 및 서비스 관련 전망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직접적 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사업
- (반도체 및 부품·소재·제조장치·제조공장) 반도체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GPU 및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주된 제품이며, 부품·소재에서는 실리콘 웨이퍼 및 희소 금속, 화합물 반도체 소재, 제조 장치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장치 및 이들의 제조공장을 들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 AI 모델(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 및 딥 러닝 모델)의 학습과 추론에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시 확장 가능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중요
-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AI 소프트웨어 개발은 기계학습(ML)과 딥러닝을 활용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알고리즘, 데이터, 컴퓨터 자원이 밀접하게 관련되며, 대규모 언어모델(LLM), 멀티모달AI, AI에이전트 등이 있음
○ AI에 의한 서비스를 활용한 산업
- 제조업, 의료 헬스케어, 신약후보 예측 및 개발 가속화, 자율주행, 금융(핀테크, 전자상거래, 에너지(스마트그리드), 건설업 및 부동산, 스마트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AI 법규제: 안전성, 윤리, 개인정보(프라이버시) 보호의 균형이 중요
- AI에 있어서의 법규제는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되지 않으면서 안전성·윤리·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균형이 중요하며 현재 각국이 개별적 규제 도입 중
- AI의 주요 규제 영역으로는 1) 개인정보 보호, 2) 저작권 문제(예: 화상, 문장, 음악), 3) 딥페이크 규제(EU에서는 허위 정보에 대한 대책으로서 생성형 AI의 컨텐츠에 「AI에 의한 생성」이라는 명시를 의무화), 4) 보안 등을 들 수 있으며, AI 기술의 진화에 따라 법 규제·윤리 기준을 적절히 정비하여 사회에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