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공업 기업과 단지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 건설지침>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정보화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18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공업정보화부판공청, <공업 기업과 단지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 건설지침> 발표
- (목적) 공업 에너지절약 및 탄소감축 관리 강화, 시스템이 완비된 탄소배출 이중제어 제도적 시스템 구축 지원
- (목표) 공업 기업과 단지는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 건설 및 운영을 통해 에너지소비와 탄소배출에 대한 정확한 계량, 정밀한 관제, 스마트화 의사 결정 및 가시화 구현을 실현
※ 에너지절약 및 탄소감축 관리능력을 지속 제고,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과 탄소배출 감축을 효과적으로 지원, 녹색 저탄소 전환 촉진
○ 주요내용
- (업무기능)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는 에너지소비의 조회, 계산, 분석, 에너지 효율 벤치마킹, 최적화, 에너지사용 및 탄소배출 예산관리, 탄소발자국 계산 등의 기능을 갖출 것을 확정
- (기술방안)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의 시스템 아키텍처는 인프라, 데이터 수집, 데이터 아키텍처, 모델 구성요소, 업무 응용 및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고 확정
- (보장조치) <에너지절약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조직기구, 관리제도, 네트워크 및 데이터 보안 등 분야에서 구체적인 조치를 제시해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의 고수준 건설과 고품질 운영 보장
- (목적) 공업 에너지절약 및 탄소감축 관리 강화, 시스템이 완비된 탄소배출 이중제어 제도적 시스템 구축 지원
- (목표) 공업 기업과 단지는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 건설 및 운영을 통해 에너지소비와 탄소배출에 대한 정확한 계량, 정밀한 관제, 스마트화 의사 결정 및 가시화 구현을 실현
※ 에너지절약 및 탄소감축 관리능력을 지속 제고,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과 탄소배출 감축을 효과적으로 지원, 녹색 저탄소 전환 촉진
○ 주요내용
- (업무기능)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는 에너지소비의 조회, 계산, 분석, 에너지 효율 벤치마킹, 최적화, 에너지사용 및 탄소배출 예산관리, 탄소발자국 계산 등의 기능을 갖출 것을 확정
- (기술방안)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의 시스템 아키텍처는 인프라, 데이터 수집, 데이터 아키텍처, 모델 구성요소, 업무 응용 및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고 확정
- (보장조치) <에너지절약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조직기구, 관리제도, 네트워크 및 데이터 보안 등 분야에서 구체적인 조치를 제시해 디지털화 에너지탄소관리센터의 고수준 건설과 고품질 운영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