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태양광발전전략 2025 (NEDO PV Challenges 2025)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28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는 '04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태양광발전전략을 수립하고 기술개발 프로젝트 및 기획, 추진에 활용해 왔으며 금번 사회 정세 변화 등을 반영하여 2025년판 태양광발전전략을 발표
- 태양광 발전 설비의 대량 도입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새로운 설치 장소의 개척, 범용 전원 수준의 발전 비용 실현, 변동 전원인 만큼 계통영향 완화를 위한 조정력 창출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동 전략에서는 일본 국내외 시장·정책·기술 동향 및 일본의 대응 등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4대 과제를 추출
※ 4대 과제: 도입 확대시 적합한 지역의 제약, 기대되는 수요의 다양화, 효율적 운용 및 보수, 사용된 모듈의 대량 배출 및 재활용, 자원 절약

○ 과제 해결을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시스템 개발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관점에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발/대규모 도입/설비 유지와, 자원 순환 사회 구축 관점에서의 적은 자원을 활용한 제조/재활용 등을 통한 자원의 재이용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다음의 다섯 가지 기술적 방안을 추진할 계획
-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전세계적으로 개발 경쟁이 격화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탠덤형 태양전지, III-V족 화합물 태양전지 등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
- (도입 확대를 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개발) 설치 장소에 따른 모듈의 개발 및 설치·시공 방법(플렉시블 태양전지 등)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발전비용 감축을 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개발
- (다양화되는 수요에 대한 대응) 차량용 태양전지 개발, 탑재 추진을 위한 실증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도입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능(건축물로서의 의장성, 창문 설치시 색조 등) 관련 기술의 개발
- (발전 설비의 장기 안정 전원화) 장기적, 안정적 가동을 위한 효율적인 운용·보수기술 개발, 설치 장소에 따른 안전 가이드라인 및 도입 확대가 기대되는 새로운 설치 형태의 가이드라인 수립 및 갱신, 고정밀 태양광 예측기술 개발
- (자원 순환을 목표로 한 재활용시스템 개발) 새로운 처리비용 감축 및 새로운 태양전지 모듈(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면발전형 태양전지 모듈 등)의 분리·재활용기술의 개발과 함께 회수된 자재의 재활용기술 개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