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방창생(지역활성화) 2.0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CAO)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3-24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내각부는 3월 24일 개최된 3회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 지역 활성화(지방창생)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지방창생 2.0'이란 '지방이야말로 성장의 주역'이라는 발상에 기초한 이시바 정권의 간판 정책으로 기존의 지역 활성화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경제의 자율적인 성장과 국민의 생활환경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응을 의미
○ 지방혁신창생구상 추진
- 지방의 경제·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부처가 연계하여 정책을 통합화, 중점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창생 2.0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결합 및 조합의 가능성을 지방에서 추진하는 '지방혁신창생구상'을 관계 부처가 연계하여 민관이 함께 강력히 추진
- 다양한 지역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화, 디지털 활용 및 콘텐츠 산업과 연계한 국내외의 새로운 수요 발굴 등 지역의 '산학관 및 금융계, 노동계, 언론, 변호사' 등의 주체에 의해 지방을 기점으로 한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결합을 창출
○ 새로운 결합의 예시
- 전통적인 농림수산업/지역산업 X 역사문화 X 관광 (숙박시설에서 새로운 음식과 공예품 제공, 문화예술과 자연을 포함한 다양한 지방 관광루트 구축)
- 지역의 고등전문학교 X AI X 중소기업 X 지방 은행 (고급 인력이 AI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과제 해결 및 수익화, 지역에 애정을 가진 인재육성에도 기여)
- 양자기술 X 교통 X 관광 (양자컴퓨팅의 활용을 통해 지역에 최적 관광 루트 제시, 요금 최적화)
- '지방창생 2.0'이란 '지방이야말로 성장의 주역'이라는 발상에 기초한 이시바 정권의 간판 정책으로 기존의 지역 활성화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경제의 자율적인 성장과 국민의 생활환경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응을 의미
○ 지방혁신창생구상 추진
- 지방의 경제·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부처가 연계하여 정책을 통합화, 중점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창생 2.0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결합 및 조합의 가능성을 지방에서 추진하는 '지방혁신창생구상'을 관계 부처가 연계하여 민관이 함께 강력히 추진
- 다양한 지역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화, 디지털 활용 및 콘텐츠 산업과 연계한 국내외의 새로운 수요 발굴 등 지역의 '산학관 및 금융계, 노동계, 언론, 변호사' 등의 주체에 의해 지방을 기점으로 한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결합을 창출
○ 새로운 결합의 예시
- 전통적인 농림수산업/지역산업 X 역사문화 X 관광 (숙박시설에서 새로운 음식과 공예품 제공, 문화예술과 자연을 포함한 다양한 지방 관광루트 구축)
- 지역의 고등전문학교 X AI X 중소기업 X 지방 은행 (고급 인력이 AI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과제 해결 및 수익화, 지역에 애정을 가진 인재육성에도 기여)
- 양자기술 X 교통 X 관광 (양자컴퓨팅의 활용을 통해 지역에 최적 관광 루트 제시, 요금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