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보통신기술분과회 기술전략위원회 5차 중간보고서(안)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총무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28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총무성 정보통신심의회 정보통신기술분과회 기술전략위원회는 3월 28일 개최된 55회 회의에서 총무성의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관련 대응,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 분야,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초연구 분야, 정보통신연구기구(NICT)의 정책 및 대응 등에 대해 정리한 5차 중간보고서를 발표
○ 차기 중장기에 걸쳐 NICT에 기대되는 역할
- 국제경쟁력 강화 및 경제안보 확보 등을 비롯한 일본의 중요정책 실현에 정보통신의 관점에서 적극 기여
- 민간투자 및 인재 육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촉매가 되는 산학관 협력의 핵심·허브로서의 역할 수행
- NICT가 보유한 시설·설비 및 축적된 지식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혁신 허브 기능(테스트베드, GPAI 도쿄 전문가센터 등), 연구자금 배분기관으로서의 기능(Beyond 5G(6G) 기금사업), 스타트업 지원 등 강화
○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 분야
- (AI, 커뮤니케이션) NICT 차원에서 고품질의 일본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국내 기업의 LLM 개발을 위해 제공하면서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일본에서 신뢰도가 높은 AI 개발 능력 강화
- 그밖에 Beyond 5G, 양자정보통신, 사이버보안
○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초연구 분야
- (전자파 첨단 기술) 리모트센싱, 우주환경, 전자환경, 시공표준, 디지털광학기반기술
- (혁신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아키텍처, 포토닉 네트워크 기반, 광전파융합 기반기술, 차세대 무선기술, 우주통신기반기술, 회복탄력성이 뛰어난 ICT 기반기술
- 그밖에 사이버보안, 유니버설 커뮤니케이션, 첨단 ICT 기반기술 등 프론티어 과학
○ 차기 중장기에 걸쳐 NICT에 기대되는 역할
- 국제경쟁력 강화 및 경제안보 확보 등을 비롯한 일본의 중요정책 실현에 정보통신의 관점에서 적극 기여
- 민간투자 및 인재 육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촉매가 되는 산학관 협력의 핵심·허브로서의 역할 수행
- NICT가 보유한 시설·설비 및 축적된 지식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혁신 허브 기능(테스트베드, GPAI 도쿄 전문가센터 등), 연구자금 배분기관으로서의 기능(Beyond 5G(6G) 기금사업), 스타트업 지원 등 강화
○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 분야
- (AI, 커뮤니케이션) NICT 차원에서 고품질의 일본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국내 기업의 LLM 개발을 위해 제공하면서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일본에서 신뢰도가 높은 AI 개발 능력 강화
- 그밖에 Beyond 5G, 양자정보통신, 사이버보안
○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초연구 분야
- (전자파 첨단 기술) 리모트센싱, 우주환경, 전자환경, 시공표준, 디지털광학기반기술
- (혁신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아키텍처, 포토닉 네트워크 기반, 광전파융합 기반기술, 차세대 무선기술, 우주통신기반기술, 회복탄력성이 뛰어난 ICT 기반기술
- 그밖에 사이버보안, 유니버설 커뮤니케이션, 첨단 ICT 기반기술 등 프론티어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