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푸드테크 - 식품을 바꾸는 첨단기술의 과제와 가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국립국회도서관(NDL)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28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국립국회도서관은 푸드테크의 현황, 분야별 최신기술 동향, 상용화를 위한 접근, 미래 전망 등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
- 푸드테크는 생산에서 가공, 유통, 판매, 소비 등으로 이어지는 푸드체인 분야의 새로운 기술 및 동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하며, 푸드테크가 주목받게 된 배경에는 단백질 위기와 같은 사회적 측면, 기후변화 리스크와 같은 환경적 측면, 벤처캐피털 투자와 같은 금융적 측면, 건강의식 향상과 같은 소비적 측면 등 다양한 요인이 있음
- 푸드테크의 기반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가상 공간과 물리 공간을 고도로 융합시킨 사이버 피지컬 시스템, 다른 하나는 식량생산과 관련된 게놈 편집과 같은 바이오테크놀로지임
- '생산' 분야의 푸드테크로는 동물성 식품을 대체할 대체 단백질 식품 개발이 있고, 그 대표적 예로서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세포성 식품)이 있으며, 그 밖에도 균사체 식품(마이코프로틴), 해조류 식품, 곤충 유래 단백질을 사용한 신규 식품 제조중
- '가공·유통' 분야의 푸드테크로서 푸드 로봇 및 스마트 푸드 체인 등의 기술이 있는데, 푸드 로봇은 생산, 가공·조리, 배식 등의 각 분야에서 작업의 효율을 높이거나 일손 부족의 해소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스마트 푸드체인은 데이터 연계를 통해 푸드체인 전체를 최적화하여 식품의 유통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부가가치를 향상할 것으로 기대
- 푸드테크는 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뒷받침하는 혁신적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사회의 변화를 세 개의 층으로 파악하는 다층적 관점에서 정리하면 레짐(기존의 산업)과 랜드스케이프(사회 전체의 큰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틈새기술(혁신기술)로 성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푸드테크의 사회적 과제로서 ①법제도·규제 ②ELSI(윤리적·법적·사회적 과제) ③경제·투자, ④기술에 대한 신뢰·불신에 대해 분석
- 또한 푸드테크의 사회 구현을 위해 ①음식문화 ②소비자 심리 ③과학커뮤니케이션, ④인재육성과 같은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을 실시하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및 인재육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의 중요성 등을 확인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