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연구개발 부감보고서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2024)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28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4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의 글로벌한 사회적 과제, 경제적 과제를 정리하고 주요국의 과학기술정책동향과 사회와의 관계, 최첨단 연구개발 동향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전체적으로 최근 2~3년의 큰 기술·연구 트렌드(변화, 진전)로는 기초·기반기술의 관점에서는 "오믹스 기술", "게놈공학(편집, 합성 등)", "단백질 등 구조 예측·설계", 건강·의료의 관점에서는 "유전자 치료, 게놈 편집 치료", "저·중분자/핵산 의약", "디지털 의료(의료기기, 의료 데이터 기반)" , 식량·바이오 생산의 관점에서는 "친환경 농업" , "발효기술" , '육종기술'의 9가지를 들 수 있음
- 본 보고서의 2장에서 정리한 30개의 연구개발 영역 전체에 공통되는 경향으로서, 미국이 모든 영역에 걸쳐 기초부터 응용까지 압도적으로 강하고, 유럽이 그 다음의 위치에 있으며, 중국이 존재감을 급속히 키워 미국, 유럽을 압도하는 부분도 보였음
- 일본은 미국, 유럽, 중국에 비해 거의 모든 연구개발 분야에서 존재감이 저하되고 있으나, 일본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한 영역(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활발하거나 대형 프로젝트가 여러 개 진행중이거나 연구자가 많거나, 관련된 세계적 기업이 국내에 존재하는 등)으로는 '저·중분자 신약' '줄기세포치료(재생의료)' '유전자 치료(in vivo/ex vivo)' '게놈의료' '암' '뇌·신경' '면역·염증' '생체시계·수면', '장기 관련', '미생물 제조' '농업 엔지니어링' '구조분석(생체고분자, 대사산물)' 등이 있음
- 이에 따라 일본에 있어 중요한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음 : ① 개별 예측적 의료·헬스케어 실현, ② 다양한 신약 개발 모달리티의 개척, 창출, ③ 농업, 식량, 바이오 생산의 지속성 향상, ④ 첨단계측기술/차세대 바이오테크놀러지 개발, ⑤ 생명 현상의 통합적 이해, 메커니즘 규명, ⑥ 연구개발 DX기반 구축 [AI 데이터], ⑦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

배너존